가전체 소설 ( )

한문학
개념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적으로 입전(立傳)한 소설.
이칭
약칭
가전(假傳)
내용 요약

가전체 소설은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로 입전(立傳)한 소설이다. 가전체 소설은 주인공의 행적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지난 잘못을 거울로 삼아 다시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아니하도록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서두부(도입부) - 행적부(내용부, 전개부) - 평결부(논찬부, 종결부, 논평부)의 3단 형식으로 구성된다.

정의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적으로 입전(立傳)한 소설.
가전체 소설의 구성 및 내용

가전체 소설은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한 주인공의 행적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지난 잘못을 거울로 삼아 다시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이 목적이며, 매우 풍자적인 문학 형식이다. 주인공이 의인화된 사물이기 때문에 그 가계(家系)와 행적을 사실(史實)에 주2 위하여 많은 고사를 이끌어 쓴다는 특징이 있다.

논자에 따라서는 '의인 전기체(擬人傳記體)'라고도 하며 우화와 함께 의인 문학의 일부로 취급하기도 한다. 가전체 소설의 일반적 구성 형식은 '서두부(도입부) - 행적부(내용부, 전개부) - 평결부(논찬부, 종결부, 논평부)'의 3단 구성이다. 이를 세분화하여 '서두 – 선계 – 사적 – 종말 – 후계 – 평결' 형식으로 나누기도 한다. 평결부는 주3의 형식과 마찬가지로, 사관의 말을 통하여 강한 주4을 드러내 보인다.

가전체 소설의 전개 양상과 작중 세계

가전은 중국 주5의 『사기 열전(史記列傳)』이 그 뿌리라 할 수 있다. 중국 주6의 「모영전(毛穎傳)」이 가전체의 첫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 임춘(林椿)「국순전(麴醇傳)」 · 「공방전(孔方傳)」을 시작으로, 이가원(李家源)/「화왕전」의 저자가 민백에 이이순(李頤淳)으로 돼 있는데 '가원'이 호인 것 같지도 않아서 이 부분은 오류 같습니다. 이슈 남겨 놓겠습니다./의 「화왕전」에 이르기까지 약 8세기에 걸쳐 총 84편의 가전체 소설이 창작되었다. 가전체 소설은 현재도 새로 발굴되고 있는데,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 소장 「국생전(麴生傳)」, 이안중(李安中, 1752~1794)의 「안제본기(雁帝本紀)」, 김예연(金禮淵)의 국문본 「화왕본기(花王本記)」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가전체 소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인공은 ‘사물’로 문방사우를 의인화한 작품이 많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삼은 경우에는 주로 ‘마음’을 의인화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성했으므로 불교 가전류도 지어졌다. 『동문선』에 실려 있는 「정시자전」 외에도 혜심(慧諶)「죽존자전(竹尊者傳)」「빙도자전(氷道者傳)」이 전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혜심의 작품은 『고승전(高僧傳)』의 형식을 표방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정수강(丁壽崗)「포절군전(抱節君傳)」, 이덕무(李德懋)「관자허전(管子虛傳)」, 유본학(柳本學)의 「오원전(烏圓傳)」, 이이순(李頤淳)의 「화왕전(花王傳)」, 황현(黃玹)의 「황의공자전(黃衣公子傳)」, 현대 인물인 변영만(卞榮晩)「시새전(施賽傳)」 등 전통적인 가전의 모습을 갖춘 작품들이 한문학이 막을 내리는 시기까지 계속되었다.

조선 시대 대표적 가전체 소설로는 마음을 '천군(天君)'으로 의인화한 천군소설(天君小說), 또는 심성 가전(心性假傳) 계통의 작품들이 있다. 천군소설계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가전과 내용적, 형식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천군소설은 심학(心學)의 영역인 주7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형식상으로는 사전체(史傳體)의 전통적인 것 외에도, 기(記)실록편년체본기ㆍ연의[^8]계 장회 주9의 형식을 차용한 작품까지 나타난다. 사전체로는 김우옹(金宇顒)「천군전(天君傳)」이옥(李鈺)「남령전(南靈傳)」이 있다. 기체(記體)로는 임영(林泳)「의승기(義勝記)」가 있다. 실록체로는 유치구(柳致球)「천군실록(天君實錄)」이 있다. 본기체로는 임제(林悌)「수성지(愁城誌)」정기화(鄭琦和)「천군본기(天君本紀)」가 있다. 장회 소설체로는 정태제(鄭泰齊)「천군연의(天君演義)」가 알려져 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가전체 소설은 상식화된 일반적 지식을 나열하며, 대화체를 통한 인물 간 갈등의 고조를 조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남성중(南聖重)의 「화사(花史)」와 안정복(安鼎福)「여용국전(女容國傳)」 등도 가전체 소설이라 할 만한 작품들이다.

가전체 소설은 20세기 무렵까지 창작되었다. 대표적으로 나헌용(羅獻容, 1851~1925)의 「진현전(陳玄傳)」, 「저선생전(楮先生傳)」 등과 같이, 문방사우를 의인화한 작품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광순, 『천군소설연구』(형설출판사, 1980)
김창룡, 『한국가전문학의 연구』(개문사, 1985)

논문

안병설, 「가전에 대한 이견 산고: '한국 가전문학연구' 발췌」(『명지어문학』 7, 명지어문학회, 1975)
안병설, 「가전에 대한 이견 속고」(『명지어문학』 8, 명지어문학회, 1976)
양승민,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화왕본기(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古小說 硏究』 29, 한국고소설학회, 2010)
유기옥, 「羅獻容의 <陳玄傳>과 <楮先生傳> 연구」(『語文論集』 61, 중앙어문학회, 2015)
조수학, 「가전연구」(『어문학』 29, 한국어문학회, 1973)
주수민, 「한국 가전체소설 작품들의 존재 현황에 대한 종합적 이해」, (『국제어문』 90, 국제어문학회, 2021)
최윤희, 「새자료 <麴生傳> 연구」(『東洋古典硏究』 45, 동양고전학회, 2011)
주석
주2

어떤 사물을 빌려 감정이나 사상 따위를 표현하다. 우리말샘

주3

역사와 전기(傳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옳고 그름이나 선하고 악함을 판단하여 결정하는 의식.

주5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우리말샘

주6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마음은 본체인 성(性)과 작용인 정(情)을 통괄함. (한국학용어용례)

주8

연의 소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허구적인 내용을 덧붙여 흥미 본위로 쓴, 중국의 통속 소설. <삼국지연의>, <초한연의>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9

장회 소설: 내용이 긴 이야기를 여러 회로 나누어 서술한 소설.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