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봉산 대곡사 ( )

목차
관련 정보
대곡사 범종각
대곡사 범종각
불교
유적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비봉산(飛鳳山)에 있는 고려후기 인도의 승려 지공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대국사(大國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비봉산(飛鳳山)에 있는 고려후기 인도의 승려 지공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비봉산은 고려 이전에는 태행산(太行山), 조선에서는 자미산(紫薇山)이라고 하였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승 지공(指空)이 창건하여 대국사(大國寺)라 하였는데, 이는 지공이 원나라와 고려의 양대국을 다니면서 불법을 편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 뒤 조선 세종 때는 교종(敎宗)에 속하였고, 1605년(선조 38) 탄우(坦祐)가 중창하였으며, 1687년(숙종 13) 태전선자(太顚禪子)가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 · 명부전(冥府殿) · 범종루(梵鐘樓) · 산신각 · 일주문 · 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2014년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서 내부에는 석가여래삼존불과 후불탱화, 신중탱화(神衆幀畫) 등이 봉안되어 있다. 범종각은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이고 팔작지붕의 2층건물이다.

명부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전 안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명부시왕(冥府十王) 등이 봉안되어 있다. 이 밖의 문화유산으로는 고려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13층 청석탑(靑石塔)과 하대석 · 간석(竿石)만 남아 있는 석등대석(石燈臺石)이 있다. 대곡사에서 약 1㎞ 산 위쪽에 근래에 중수된 진영각(眞影閣)이라는 암자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대곡사가 창건된 자리라고도 한다.

이곳에는 지공 · 나옹(懶翁) · 무학(無學) · 서산(西山) · 사명(四溟) 등 10여 명의 고승 진영을 봉안하고 있다. 대곡사에서는 매년 인근 지역의 노인들을 위하여 경로잔치를 벌이고 있다.

참고문헌

『의성군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義城郡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대구대학교박물관, 1987)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 상(上)』(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