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중종 대 교서관 정자와 교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윤지(允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강양(江陽)
출생지
합천
주요 관직
교서관 교리
내용 요약

이적은 조선 전기 중종 대 교서관(校書館) 정자(正字)와 교리(校理)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중종 대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적의 성격과 능력 문제 때문에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반면, 『국조인물고』에는 그의 성품이 순박하고 온화하였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전기 중종 대 교서관 정자와 교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적(李迪)의 본관은 강양(江陽, 지금의 합천), 자는 윤지(允之)이다. 고조할아버지부는 판도사(版圖司) 판서(判書)를 지낸 이운호(李云皓)이고, 아버지 이백손(李伯孫)은 훈련원(訓鍊院) 참군(參軍)을 지냈다. 어머니는 광양현감(光陽縣監) 강행(姜行)의 딸이다. 7형제 중 셋째이다. 부인은 안악이씨(安岳李氏)이다. 다섯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큰아들 이도남(李圖南)은 1516년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1533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절충장군(折衝將軍) 주1까지 이르게 되었다. 65세에 죽었다.

주요 활동

전적(典籍)을 지냈던 외삼촌 강문회(姜文會)에게서 글을 배우며 과거를 준비하였다. 1513년(중종 8)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교서관 정자와 교서관 교리 등의 관직을 지냈다.

1518년 교서관 정자로 있는 동안 성격과 능력의 문제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주2되었다. 1523년 중종이 이적을 다시 교서관 교리로 임명하자, 사헌부(司憲府)는 그가 육조(六曹)낭관(郞官)을 지내지 않았기 때문에 높여서 주3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제시하였다. 당시 중종은 사헌부의 의견을 따르지 않고 이적을 그대로 교리로 임명하였다. 교서관 교리 이후 그의 관력은 기록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같은 관찬 사료에서는 그의 활동에 대한 기록에 매우 제한적으로 남아 있다. 다만,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에 따르면 성품이 순박하고 주4이 온화하였으며, 사람들을 관대하고 후하게 대하면서 잘 용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재산을 모으는 일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서 관직 생활을 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많았지만, 개의치 않았기 때문에 주변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중종실록(中宗實錄)』

단행본

김돈, 『조선전기 군신권력관계 연구』(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계승범, 『중종의 시대-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역사비평사, 2014)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벼슬을 갈아 냄.    우리말샘

주3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우리말샘

주4

사람이 타고난 기개나 마음씨. 또는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모양.    우리말샘

집필자
이규철(성신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