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청련암 영산회상도 ( )

수원 청련암 영산회상도
수원 청련암 영산회상도
회화
작품
문화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일로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 청련암 극락보전에 봉안된 후불도.
정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일로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 청련암 극락보전에 봉안된 후불도.
구성 및 형식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석가여래와 문수·보현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권속들을 대칭적으로 배치한 형식의 그림이다. 화기를 통해 1891년(고종 28)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크기는 세로 124.5㎝, 가로 449.0㎝의 면 바탕에 채색을 베푼 작품으로, 2009년 5월 21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영산회상도는 인도의 기사굴산 즉, 영취산에 모여든 청중들에게 석가모니가 『법화경』 설법 광경을 주제로 그린 불화를 말한다. 조선 후기 사찰의 중심 전각에 대표적으로 봉안되는 그림으로, 우리나라 어느 사찰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청련암 영산회상도는 법당의 후불벽에 걸리는 그림으로서는 세로 길이에 비해 가로 길이가 가장 긴 불화로 유례가 없을 듯하다. 화면 중앙의 석가와 문수·보현보살로 이루어진 석가삼존상은 줄기가 뻗어 오른 연화좌에 앉아있고,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갖추었으며, 본존인 석가여래의 신광 내부에는 물결 모양의 오색 방광(放光)이 표현되었다. 그리고 가섭과 아난을 비롯한 나한들은 양손에 지물을 들고 있거나 합장형이다. 나한과 외곽에 배치된 사천왕 사이에는 황색 구름으로 경계를 지어 그 위계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 하단 양쪽에는 제작 시기와 제작자 등을 밝힌 화기란이 마련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불화의 제작자인 수화승 의암현조(義庵炫眺)는 19세기 후반 서울·경기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불화승으로, 서울·경기 지역의 불교회화와 불화승의 계보를 밝힐 수 있는 주요한 작품이다. 가로 폭이 넒은 화면의 크기는 조선 말에서 근대기 전각의 구조에 따른 불화의 형상이다. 특히 이 그림은 가로 폭이 약 450㎝에 이를 정도로 매우 넓은 사례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용주사 본말사의 불화」(Ⅰ)(장충식,『한국의 불화』 28, 성보문화재연구원, 2003)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은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