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 ()

목차
관련 정보
파한집 / 이인로
파한집 / 이인로
한문학
개념
한문학에서 시에 대한 평론이나 시인과 관련된 일화 · 행적 등을 기록한 서적.
목차
정의
한문학에서 시에 대한 평론이나 시인과 관련된 일화 · 행적 등을 기록한 서적.
내용

시화라는 이름 외에도 시평(詩評)·시담(詩談)·시설(詩說)·시품(詩品) 등의 순수한 시비평집들이 있다.

그리고 소설·패설(稗說)·유설(類說)·연담(軟談) 등과 같이 잡록(雜錄) 형태로 시화가 삽입된 것들도 모두 시화로 통칭한다.

시화란 명칭은 송나라의 구양수(歐陽修)의 ≪육일시화 六一詩話≫에서 비롯된다. 시론을 전개함에 있어 한담(閑談)을 삽입함으로써 종래 전문저서의 문체와 다른 수필체의 서술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 뒤로 시화는 자유롭고 유연한 표현방식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갔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문헌상 시화류에 선행하여 전문저서 성격의 시론이나 시의 품격을 다룬 비평문은 발견되지 않는다.

조선 초기에 서거정(徐居正)의 ≪동인시화 東人詩話≫에서 처음 시화라는 명칭이 쓰였다. 그러나 내용상 시화의 성격에 부합되는 수필체의 ‘시에 관한 이야기’들을 지은 시기는 고려 무신집권기이다.

그 최초의 것으로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 破閑集≫과 이규보(李奎報)의 ≪백운소설 白雲小說≫이 있다. 이러한 저작들에 이어 최자(崔滋)의 ≪보한집 補閑集≫,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 櫟翁稗說≫ 등이 계속해서 출현함으로써 한국시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시화를 살펴보면 대체로 시대에 따라서 4, 5차의 변천을 보여 주었고 그때마다 특징을 달리하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신의(新意)·용사론(用事論)이 주를 이루었고, 조선 초기에는 송시(宋詩)를 숭상하였다.

선조조 무렵에는 존당론(尊唐論)으로 변하였다. 이 무렵에 한쪽에서는 이기설(理氣說)을 가지고 시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임진·병자의 양란을 겪고 나서는 민족의 의식이 각성되고 고조되면서 시화에도 자아(自我)·자주적(自主的)인 논의가 일어났다. 조선 후기 시화는 전통적인 시화류에서 순수한 시화만을 간추리고 분류하는 휘편(彙編) 작업이 성행되었다.

고려시대의 이인로는 ≪파한집≫에서 “사람의 재주는 그릇에 한계가 있는 것과 같은데, 이에 반하여 시재(詩材)는 무궁하다. 유한한 재주로 무한한 재료를 따를 수 없기에 아무리 대가라 하여도 반드시 선인의 명구(名句)를 가져다가 다듬어 아름답게 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고사사용을 필연적 사실로 인정한 것이다. ‘용사(用事)’를 위해서는 수사(修辭)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 것이다. 따라서 이인로의 용사론은 수사론이면서 동시에 형식을 중시하는 시론이다.

이규보는 ≪백운소설≫에서 “시는 사상과 감정이 주가 되고, 수사는 다음에 속한다. 사상과 감정은 기(氣)가 주가 된다. 그리고 기의 우열에 따라서 시의 우열이 있게 된다. 졸렬한 기를 타고난 사람은 겨우 수사만을 가지고 시를 짓고 사상과 감정을 앞세우지 못한다. 수사가 아름답기는 하나 함축된 내용이 없으면 보잘 것이 없게 된다.”라 하였다.

그는 시적 내용인 ‘신의’, 중시하고 수사방면을 경시하였다. 이규보의 이와 같은 주장은 최자의 ≪보한집≫에서도 계승되어 나타난다.

조선 초기의 서거정은 고려 시화에서 등장한 신의와 용사에 관한 논의에서 용사론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는 ≪동인시화≫에서 “시의 용사는 반드시 출처가 있어야 한다.” “옛사람들이 시를 짓는 데는 한 구(句)도 출처가 없는 것이 없다.”라 하였다.

그리고 용사에는 직용(直用)과 반용(反用), 번안법(飜案法) 등이 있다고 논하였다.

그 밖에도 대우법(對偶法)을 강조한 점 등으로 보면 수사를 중시하는 송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영향이 엿보인다. 조선 초기에는 이와 같이 송시를 숭상하는 시단의 영향을 받아 시화에도 송시풍을 강조하였다.

조선 중기에 오면 삼당시인(三唐詩人) 등의 출현으로 당시풍이 진작(振作)되고 있었다. 그래서 허균(許筠)은 ≪성수시화 惺叟詩話≫나 ≪학산초담 鶴山樵談≫, 그리고 ≪국조시산 國朝詩刪≫ 등의 저서에서 송시를 억제하거나 배척하는 존당론을 편다.

그는 “성당의 작품과 비슷하다(似盛唐人作).”, “성당의 풍격이 있다(有盛唐風格).”, “성당과 견줄만하다(可肩盛唐).”, “당에 가깝다(逼唐).”, “당인보다 못하지 않다(不减唐人).” 등과 같이 성당시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아 인상적으로 비교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조선 중기를 전후해서 성리학의 이기설을 가지고 시와 문장을 논한 것이 발견된다. 신흠(申欽)은 그의 ≪상촌연담 象村軟談≫에서 “시는 형이상(形而上)의 것이고, 문은 형이하(形而下)의 것이니, 형이상이란 천(天)에 속하고 형이하란 지(地)에 속한다.

시는 사(詞)를 주로 하고, 문은 이(理)를 주로 한다. 시에 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주로 하면 내실(內實)하게만 있게 된다. 문에 수사가 없는 것이 아니지만 수사적인 사를 주로 하면 기록으로만 있게 된다. 따라서 사와 이가 모두 고루게 있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신흠은 시와 문을 형이상·형이하, 이와 사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설명하였다. 신흠의 이와 같은 시도는 문학을 보다 논리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이다. 한국시화사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견해이다.

조선 후기에 오면 우리 시화상에 새롭게 자주적인 자아론이 생긴다. 숙종조의 김만중(金萬重)은 ≪서포만필 西浦漫筆≫에서 정철(鄭澈)의 <관동별곡 關東別曲>과 전·후사미인곡(前後思美人曲)을 논하면서, “지금 우리 나라의 시문들이 제 말을 버리고 남의 나라 말을 배우는데, 설사 십분 비슷하다 해도 이는 앵무새의 말이다. 마을의 나무꾼이나 물을 긷는 아낙들이 서로 화답하며 부르는 노래는 비록 속되기는 하지만 만일 그 참과 거짓을 논한다면 사대부들의 시부(詩賦)가 여기에 따를 수 없을 것이다.”라 하였다.

김만중의 지적은 종래의 한시문(漢詩文) 우월주의에 대한 비판이면서 한글가사의 진솔한 멋을 강조한 것이다. 이것은 주체적 인식을 통한 자아발견의 결과라 하겠다.

김창협(金昌協)은 그의 ≪농암잡지 農巖雜識≫에서 “시는 진실로 당나라를 배우는 것이 마땅하지만, 반드시 당나라와 같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당나라 사람은 당나라 사람이고, 오늘날 사람은 오늘날 사람이다. 그런데 천 몇 백년간을 서로 떨어져 있으면서 그때의 성음과 기조가 한결같기를 바라니 이것은 이치에 없는 짓이다. 굳이 같고자 한다면 이는 허수아비일 뿐이리라.”라 하였다.

김창협은 한시를 짓는 데에 자아의 발현이 중요함을 말하였다. 이 역시 그 당시 일반 문인들이 지녔던 성당시(盛唐詩) 편애주의와 모방 일변도의 추세에 대한 반성과 자각된 주체의식의 발로였다고 보여진다. 김창협과 같은 시대에 활동하였던 홍만종(洪萬宗)도 자주적인 입장에서 시화를 다루고 있다.

홍만종은 김창협과 같은 시대 문인으로 우리 나라를 소화(小華)라 이름하고, 대상을 우리 나라 시인들의 작품에만 한정하여 보다 전문적인 시비평집인 ≪소화시평 小華詩評≫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전의 한국 시화를 휘편하여 ≪시화총림 詩話叢林≫을 편찬하였다.

영·정조에 이르러서는 홍중인(洪重寅)의 ≪동국시화휘성 東國詩話彙成≫, 남희채(南羲采)의 ≪구간시화 龜磵詩話≫, 임렴(任廉)의 ≪양파담원 暘葩談苑≫, 그리고 편자 미상의 ≪시가제화수록 詩家諸話隨錄≫·≪해동제가시화 海東諸家詩話≫·≪해동시화 海東詩話≫·≪시화초성 詩話抄成≫ 등 허다한 시화총서들이 출현하였다.

그 밖에도 한말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시화는 지어지긴 하였으나 전 시대에 비하여 내세울만한 특징은 발견되지 않는다.

시화는 사대부들의 생활교양인 한시를 바탕으로 생산된 형식이다. 이와 같은 성격은 현재에 있어 시화연구의 한계로 인정된다. 그 반면에 비평은 제2의 창작이라 말하는 것처럼 시화도 근대의 비평과 유사한 비평활동이었다.

근대 이후에 한시는 통용될 수 없는 문학장르가 되어버렸다. 그렇지만 시화 속에는 여전히 현대의 비평과 창작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이 산재해 있을 것으로 믿는다.

향후의 시화연구는 종래와 같이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정리, 개별적인 시화의 특징 등을 다루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시화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평용어의 현대적인 재해석을 해야한다. 그리고 중국시화와 한국시화의 비교를 통한 한국시화의 고유전통 등을 찾아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 한편에서 성실히 진행되어야 단절 없는 한국비평문학사의 서술이 가능할 것이고, 현대시론에도 어느 정도 고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계승이 약속될 것이다.

참고문헌

『시화총림(詩話叢林)』
『소화시평(小華詩評)』
『농암잡식(農巖雜識)』
『양파담원(暘葩談苑)』
『고려조 한문학연구』(서수생, 형설출판사, 1971)
『한국고전시학사』(전형대 외, 홍성사, 1979)
『한국문학사상사시론』(조동일, 지식산업사, 1980)
『김만중연구』(조종업 외, 새문社, 1983)
『中韓日詩話比較硏究』(趙鍾業, 台北學海出版社, 1984)
『홍만종시론연구(洪萬宗詩論硏究)』(홍인표,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고려시론연구」(조종업, 『어문연구』 1, 충남대학교, 1963)
「동인시화연구(東人詩話硏究)」(조종업, 『대동문화연구』 2,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66)
「고려시론에 나타난 수사(修辭)에 대하여」(최신호, 『서울대학교교양과정부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2, 1970)
「초기시화에 나타난 용사리론(用事理論)」(최신호, 『고전문학연구』 1, 고전문학연구회, 1971)
「농암시론연구(農巖詩論硏究)」(조종업, 『민태식박사고희기념논총』, 1972)
「이인로(李仁老)의 현실과 문학사상」(김진영, 『관악어문연구』 4, 서울대학교국문과, 1979)
「허균의 문학론연구」(안병학, 『민족문화연구』 15,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소화시평(小華詩評)의 원형탐색·편제고찰」(김선기, 『충남대학교인문과학논문집』, 198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