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 말음 체언 (‘ㅎ’ )

언어·문자
개념
‘ㅎ’을 어간의 말음으로 가지는 체언.
내용 요약

‘ㅎ’ 말음 체언은 ‘ㅎ’을 어간의 말음으로 가지는 체언이다. 이 체언의 ‘ㅎ’은 환경에 따라 모습이 다르다. 체언이 단독형으로 쓰이거나 관형격 조사 ‘ㅅ’ 앞에 올 때는 ‘ㅎ’이 실현되지 않았다.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ㅋ, ㅌ’으로 실현되었다.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ㅎ’이 연음되었다. ‘ㅎ’을 제외한 말음이 ‘ ㄴ, ㄹ, ㅁ’의 자음이거나 모음이다. 체언의 ‘ㅎ’은 15세기부터 소실되기 시작하여 현대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암탉, 수캐, 안팎’ 등의 합성명사에 ‘ㅎ’의 흔적이 남아 있다.

정의
‘ㅎ’을 어간의 말음으로 가지는 체언.
개설

현대 국어에서는 형태음소적으로 체언 어간이 ‘ㅎ’으로 끝나는 경우가 없으나 이전 시기에는 그러한 명사들이 존재했다. 이런 체언들은 단독형이나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는 ‘ㅎ’이 실현되지 않으나 ‘ , ’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는 어간 말음 ‘ㅎ’이 뒤에 오는 조사의 초성과 축약되어 ‘ , ’으로 실현되며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ㅎ’이 연음되어 나타났다.

연원 및 변천

이러한 체언들은 ‘ㅎ’을 제외한 말음이 ‘ , , ’과 같은 공명 자음이거나 모음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ㅎ’을 어간 말음으로 가지면서 ‘ㅎ’을 제외한 말음이 ‘ㄱ, ㄷ, , ’ 등인 명사가 존재할 경우 이러한 명사의 말음은 ‘ㅋ, ㅌ, , ’ 등으로 실현되었을 것이므로 공명 자음과 모음 앞에서만 ‘ㅎ’ 말음 체언이 존재함은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다.

‘ㅎ’ 말음은 일부 어휘의 경우 15세기에 부분적으로 소실된 예가 나타나기도 하나 개별 어휘에 따라서는 19세기 말까지 유지되기도 하였다. 현대 국어로 오면서 어간 말의 ‘ㅎ’은 소실되었으나 ‘ᄯᅡㅎ〉땅’과 같이 ‘ㅇ’으로 흔적을 남기기도 하고, ‘세ㅎ〉셋, 네ㅎ〉넷’과 같이 ‘ㅅ’으로 교체되기도 하였다. ‘갈ㅎ〉칼, 고ㅎ〉코, ᄇᆞᆯㅎ〉팔’과 같은 예에서는 주1이 격음화되기도 하였다.

내용

어간 말음이 ‘ㅎ’인 체언들은 그 수가 꽤 많은데 대표적인 단어들은 “ᄀᆞᅀᆞᆯ(秋), 갈(刀), 겨ᅀᅳᆯ(冬), 고(鼻), 길(道), ᄂᆞᆯ(刃), 나(年), 나라(國), 나조(夕), 내(川), 네(四), ᄃᆞᆯ(等), 돌(石), 둘(二), 뒤(後), ᄯᅡ(地), ᄆᆞᅀᆞᆯ(村), 뫼(山), ᄇᆞᆯ(臂), 바다(海), ᄉᆞᆯ(肉), 세(三), 수(雄), 안(內), 알(卵), 암(雌), 열(十), 올(今年), 우(上), ᄒᆞ나(一), 하ᄂᆞᆯ(天)” 등이다.

이들 고유어 외에 중국어 차용어에서 기원한 ‘뎌(笛), 쇼(俗), ᅀᅭ(褥), 자(尺)’ 등과 같은 단어도 있는데 이들은 해당 한자음의 종성 ‘ㄱ’이 약화되어 ‘ㅎ’이 된 것이다. 이들 체언들은 단독형이나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는 ‘ㅎ’이 실현되지 않으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는 어간 말음 ‘ㅎ’이 뒤에 오는 조사의 초성과 축약되어 ‘ㅋ, ㅌ’으로 실현되며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ㅎ’이 연음되어 나타난다. 다음은 현대 국어 ‘가을’의 선대형인 ‘ᄀᆞᅀᆞᆯ’의 예이다.

① ᄀᆞᅀᆞᆯ 오매 흥(興)이 심(甚)히 기도다(두시언해杜詩諺解 20: 35b)

② ᄀᆞᅀᆞᆳ 아오글 글히니 ᄯᅩ 새롭도다(두시언해 7: 38a)

③ 겨ᅀᅳ리어든 보돗 불휘ᄅᆞᆯ ᄡᅳ고 ᄀᆞᅀᆞᆯ콰 녀르미어든 솝니플 ᄡᅳ라(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 7: 84a)

④ 변방(邊方)ㅅ ᄀᆞᅀᆞᆯᄒᆡ ᄒᆞᆫ 그려긔 소리로다(두시언해 8: 36b)

⑤ 보미 오며 ᄀᆞᅀᆞᆯ히 가매 뉘 지비 ᄃᆞ외옛ᄂᆞ뇨(두시언해 8: 42a)

①은 조사가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인 예이며, ②는 관형격 조사 ‘ㅅ’ 앞에 쓰인 예인데 ‘ㅎ’이 실현되지 않는다. ③은 말음 ‘ㅎ’이 조사 ‘과’와 축약되어 나타난 것이고, ④와 ⑤는 처소 부사격조사 ‘ᄋᆡ’와 주격조사 ‘이’에 연음되어 나타난 것이다.

현황

‘ㅎ’을 말음으로 가지던 체언들의 흔적은 ‘암, 수, 살, 안’ 등이 선행하는 ‘암탉, 수캐, 살코기, 안팎’ 등의 합성명사에 남아 있다. 현대 국어에서 ‘히읗’이란 명사의 말음이 ‘ㅎ’으로 표기되나 이는 표기상의 문제일 뿐 실제 발음은 ‘히읗이[히으시]’와 같이 ‘ㅅ’으로 실현되므로 실제로는 ‘ㅎ’이 말음인 체언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국어사개설』(이기문, 개정판, 민중서관, 1972)
주석
주1

단어의 첫소리. ‘하늘’에서의 ‘ㅎ’ 따위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황선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