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집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신 농암 김창협의 시문집.
이칭
이칭
농암전집(農巖全集)
문헌/고서
간행 시기
1709년(숙종 35), 1710년(숙종 36), 1928년
권책수
42권 15책
판본
활자본, 목판본
소장처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농암집』은 조선 후기 문신 농암 김창협의 시문집이다. 총 42권 15책으로 활자본 및 목판본 등이 다수 전해진다. 이 책에는 사상가와 학자로서의 김창협을 살필 수 있는 자료는 물론이고, 문인으로서의 김창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조선 후기 철학사 ‧ 문학사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나 정세와 관련한 자료들도 여럿 보이므로 정치사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정의
조선 후기, 문신 농암 김창협의 시문집.
서지사항

42권 15책. 활자본목판본. 부록(附錄) 2권을 포함한 원집(原集) 36권, 속집(續集) 2권, 별집(別集) 4권으로 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책의 원집은 여러 차례 증보(增補) 및 간행(刊行)되었다. 초간본(初刊本) 원집 34권은 농암 김창협(農巖 金昌協, 1651~1708)이 사망한 다음 해인 1709년(숙종 35)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 어유봉(魚有鳳) 등이 주도하여 활자(活字)로 간행한 것이고, 중간본(重刊本)은 1710년(숙종 36)에 아우 김창흡(金昌翕) 등이 주도하여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고, 삼간본(三刊本)은 1928년에 후손 김영한(金甯漢) ‧ 서상춘(徐相春) 등이 주도하여 활자로 간행한 것이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원집 36권(부록 2권 포함), 속집 2권, 별집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집의 부록 2권은 1754년(영조 30)에 손자 김원행(金元行)이 편찬(編纂)하였다. 이것을 안동부사 조돈(趙暾)이 원집과 합치고 보충하여 간행했다[補刻]. 이 보각본(補刻本)은 36권 18책의 목판본이다. 원집의 김창흡의 서(序)와 김원행의 발(跋)이 있다.

속집 2권에는 원집에 편입되지 않은 「선부군행장(先府君行狀)」 및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 등 김수근(金洙根)이 모으고 정리한 중요한 글들이 실려 있다. 1854년(철종 5)에 금속활자(金屬活字)로 간행하였다. 속집은 원집과 합쳐서 편집한 것으로, 김수근의 속집발(續集跋)이 추가되었다.

별집 4권은 김영한이 서상춘과 힘을 모아 원집과 속집에서 빠진 그 밖의 유문(遺文)을 모은 것이다. 42권 15책으로 원집과 함께 1928년에 간행하였는데, 김영한의 중간발(重刊跋)을 덧붙였다.

원집 권1∼6에는 부(賦) 4수, 시 890여 수, 권7∼9에는 소(疏) · 차(箚) 60여 편, 권10에는 계(啓) 1편, 의(議) 1편, 강의 2편, 권11∼20에는 서(書) 275편, 권21 · 22에는 서(序) 38편, 권23 · 24에는 기(記) 22편, 권25에는 제(題) · 발 16편, 교서(敎書) 2편, 전장(箋狀) 2편, 상량문(上樑文) 2편, 찬(讚) · 명(銘) 4편, 축사(祝辭) 1편, 혼서(昏書) 1편, 권26에는 잡저(雜著) 1편, 권27에는 묘지명(墓誌銘) 18편, 권28에는 신도비명 1편, 묘갈명(墓碣銘) 2편, 묘표(墓表) 6편, 행장(行狀) 2편, 권29 · 30에는 제문(祭文) 12편, 애사(哀詞) 6편, 권31∼34에는 잡지(雜識)가 실려 있다.

속집 권1 · 2에는 행장 · 서(書) · 묘지(墓誌) · 설(說)이 각각 1편씩 실려 있다. 별집 권1에는 시 2수, 서(書) 9편, 그리고 서(序) · 제문 · 행록(行錄) · 시책(試策)이 각각 1편씩 있다. 권2∼4에는 부록으로 사제문 · 제문 · 어록(語錄)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논퇴율양선생사단칠정설(論退栗兩先生四端七情說)」에서는 이황(李滉)이이(李珥)가 아직 밝히지 못한 것을 밝혔다. 즉 단(端)과 정(情)이 다 같이 성(性)의 발동인 이상, 이(理)기(氣)가 함께 발한다[共發]고 본 이이의 뜻에 찬성하고 따르지만, 사단(四端)은 이(理)를 위주로 하여 말하고[四端主理而言] 칠정(七情)은 기를 위주로 하여 말한[若七情則主氣而言] 이황의 의견이 옳다고 하였다.

원집 권1에는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하고 지은 「동정부(東征賦)」, 족질(族姪) 김시걸(金時傑)에게 지어준 「억원부(憶遠賦)」, 바람에 쓰러진 소나무를 읊은 「비송수부(悲松樹賦)」 등의 부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서 권6까지는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1673년(현종 14)부터 1702년(숙종 28)까지의 작품이 창작 시기순으로 편차(編次)되어 있고, 곳곳에 저자인 김창협이 스스로 단 주석[自註]과 『농암집』을 편찬한 사람이 단 주석[編者註]이 부기되어 있어 작품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원집 권7에 실려 있는 「관학청백관상복일종고례소(館學請百官喪服一從古禮疏)」 등 일련의 상소문(上疏文)은 서인(西人)남인(南人) 사이에 있었던 예송(禮訟)의 연구 자료로서 매우 값진 것이다.

원집 권8의 「사호조참의소(辭戶曹參議疏)」는 그의 글 짓는 능력을 과시(誇示)한 명문(名文)으로 널리 알려져 온 것이다. 속집 권2에 붙인 「사단칠정설」은 그의 이학(理學)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설(論說)이 되고 있다.

원집 권25 잡저의 「동음대(洞陰對)」는 김창협이 영평(永平)에서 은거(隱居)할 때 지은 글로, 김창협의 기개가 잘 나타난다. 여기서 그는 호환(虎患)이 두렵다 하나 인간 세상에는 호환보다 더 무서운 일이 얼마든지 있음을 이야기하며, 비유를 통해 그윽한 동음(洞陰)에 숨어 사는 자기 뜻을 완곡하게 설명하고 있다. 뒷날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김수항(金壽恒)이 복권되면서, 작자인 김창협에게 예조판서(禮曹判書) · 대제학(大提學) 등의 벼슬이 내려졌으나, 김창협은 끝내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권34 잡지 「외편」에 있는 여러 문장가(文章家)의 시문(詩文)에 대한 비평(批評)은 고문파 문장가이자 탁월한 문학 비평가(文學批評家)로서 김창협의 식견을 잘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우리나라 문학 비평사에서 그 자료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

명나라 사람과 송나라 사람의 시학(詩學)에서부터 고려시대의 이색(李穡) · 이규보(李奎報), 당대의 한학 사대가(漢學四大家)인 장유(張維) · 이정귀(李廷龜) · 이식(李植) · 신흠(申欽)에 이르기까지를 비평하였다. 이러한 김창협의 비평은 그의 수준 높은 안목을 보여 주고 있다.

부록 권4에는 후인들이 작성한 「제가장소(諸家章疏)」 · 「제가찬술(諸家撰述)」 · 「제가기술잡록(諸家記述雜錄)」 등이 실려 있다. 「제가장소」는 김창협의 신주(神主)석실서원(石室書院)에 모실 것을 청한 소, 김창협의 신주를 문묘(文廟)에 모실 것을 청한 소, 녹동서원(鹿洞書院)에 사액(賜額)할 것을 청한 소, 김홍석(金弘錫) 등에게 무함(誣陷)을 당한 송시열(宋時烈) · 김창협을 변무(辨誣)하는 소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수록된 소는 어유봉 · 오희상(吳熙常) · 송상기(宋相琦) 등이 지은 것이다. 「제가찬술」은 어유봉이 지은 「주자대전차의문목후서(朱子大全箚疑問目後序) · 『오자수언(五子粹言)』의 서문 · 『논어상설(論語詳說)』의 발문」, 어유귀(魚有龜)가 지은 「서첩후소발(書帖後小跋)」,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선화찬(扇畫贊)」 등이며, 「제가기술잡록」은 문인과 사우들의 저술(著述)에서 저자 관련 기사를 뽑아 모아 놓은 것이다.

1980년 경문사에서 『농암전집(農巖全集)』으로 영인(影印) · 간행하였다.

의의 및 평가

김창협의 문집인 『농암집』은 저자가 세상을 떠난 직후에 바로 간행되고 또 이후로 두세 차례 증보하여 간행될 만큼 당대는 물론이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이 책에는 사상가와 학자로서의 김창협을 살필 수 있는 자료는 물론이고, 문인으로서의 김창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농암집』은 조선 후기 철학사 ‧ 문학사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농암집』에는 당대의 정치나 정세와 관련한 자료들도 여기저기에 보이므로, 『농암집』은 정치사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원전

『농암집(農巖集)』

논문

김창현, 「농암전집 해제」(『농암전집』, 경문사, 1980)
박헌순, 「농암집 해제」(『농암집』, 한국고전번역원, 2000)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