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 영덕 소금장수 ( 소금장수)

목차
구비문학
작품
영남지방의 서사민요.
목차
정의
영남지방의 서사민요.
내용

영해·영덕과 인접한 경상북도 내륙지방에서 부녀자들이 주로 길쌈을 하면서 부른다. 웃음을 자아내는 희극적 서사민요의 하나이다.

영해·영덕 소금장수가 소금짐을 지고 태산준령을 넘어다니면서 남에게 적선을 한다는 사설이 그 곳 민요에 이따금씩 보이는데, 부녀자들의 성적인 결핍을 해결해준다는 대목이 드러난다.

그런 내용으로 일정한 이야기를 갖추어 유형화한 것을 ‘영해영덕소금장수’라고 특별히 일컫는다. 과부인 어머니가 방이 춥다고 늘 불평이었는데, 순진한 아들이 불을 더 지펴도 소용이 없었다. 어느날 영해영덕 소금장수가 왔다가 날이 저물어 잘 데를 찾으매 아들이 자기 어머니 방에서 자고 가라고 하였다.

어머니는 그날밤은 방이 더워 잘 잤다고 하였다. 그런데 소금장수가 떠나고 나서, 어머니는 물레질을 하며 다시 온다던 사람이 왜 오지 않느냐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그 대목만 따로 흉내를 내면서 웃는 경우도 흔하다. 푸념이 물레질 동작과 잘 맞는 가락으로 구연되어야 분위기가 어울린다.

그런데 아들이 효자라 어머니를 데리고 산에 올라가서 시름을 잊게 하려 하였더니, 어머니는 소금장수가 사는 마을을 찾아내라고 보채었다. 아들이 사방으로 다니다가 소금장수를 찾아와 어머니와 잘 살게 하였다는 것이 결말이다.

과부의 개가를 금하는 윤리적 규제에 대한 반발이 깔려 있으며, 구성과 표현이 흥미로워 인기가 있다. 「강원도 금강산 조리장수」와 비슷한 유형이다.

참고문헌

『서사민요연구』(조동일, 계명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조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