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사전 ()

속담사전
속담사전
구비문학
문헌
이기문이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1962년에 편찬한 속담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기문이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1962년에 편찬한 속담집.
내용

총 711면. 1962년 민중서관(民衆書館)에서 발간하였다. 모두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당시 속담집 가운데 가장 많은 자료를 수록하였을 뿐 아니라 출전과 용례까지 밝히고 있어 방대함과 정밀함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집 방법은 방종현(方鍾鉉) · 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대사전(俗談大辭典)』 등 기존 속담집의 자료를 총망라하고, 다시 필자가 수집한 자료를 보충한 것으로 7,000여 수의 우리말 속담 외에 2,000여 수의 한문속담 및 고사성어(故事成語)를 포함하였다.

편자가 이 사전을 편찬하게 된 동기는 그저 심심풀이로 가끔 『속담대사전』에 누락된 속담을 보거나 들었을 때 그냥 버리기가 아까워 여백에 적어 넣었던 것인데, 그 수가 점차 많아짐에 따라 언제부터인지 카드는 그럭저럭 7,000여 수를 헤아리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에는 그의 부인 김정호(金貞鎬)의 헌신적인 노고에 의하여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배열 순서는 속담을 그 첫머리 단어들의 자순에 따라 배열하고 있다. 속담의 원문은 고딕체로 인쇄하여 눈에 잘 띄게 하였고, 그 뒤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약간의 해석을 붙였다.

참고란에는 고문헌 및 방언으로부터의 인용 또는 그 속담의 이해에 참고가 될 설화를 싣고 있는데, 고금의 문학작품에서 용례를 찾아 실었고 관련 속담까지 열거하고 있다.

표기에 있어서는 소수의 경우 그 지방의 토속적인 방언형(方言形)을 살렸으나 가능한 한 표준어로 고쳐 놓았다.

부록에서는 속담처럼 쓰이는 한문의 고사성어를 실어 속담과 구별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사전의 구실을 할 수 있도록 권말에 색인을 붙이고 있다. 또한 서문을 간략하게나마 무게 있는 소논문(小論文)으로 대치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의의와 평가

속담의 명칭과 역사, 그리고 최근까지 연구된 업적들을 논급한 이 서문은 속담에 대하여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는 길잡이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우리 민속문학(民俗文學)의 이해』(김열규 외, 개문사, 1979)
『구비문학개설(口碑文學槪說)』(장덕순 외, 일조각, 1971)
「속담(俗談)」(김선풍, 『한국민속대관』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