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성부용초성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훈민정음』에서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으로 쓰는 글자를 다시 쓴다고 설명한 종성의 제자원리.
내용 요약

종성부용초성은 『훈민정음』에서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으로 쓰는 글자를 다시 쓴다고 설명한 종성의 제자원리이다.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초성 17자와 중성 11자에 대해서는 제자 방법을 설명하고 종성에 대해서는 ‘종성부용초성’이라 하여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다시 쓴다고 한 것을 말한다. 이 원리는 음절을 초·중·종성 세 요소로 나누고 그 요체인 중성에 초성과 종성이 결합된다는 음절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종성해」에서는 ‘종성으로는 8자만 사용한다’고 8종성법을 규정하여, ‘ㄱ, ㆁ, ㄷ, ㄴ, ㄹ, ㅂ, ㅁ, ㅅ’ 8자를 종성으로 사용하였다.

목차
정의
『훈민정음』에서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으로 쓰는 글자를 다시 쓴다고 설명한 종성의 제자원리.
내용

『훈민정음』「제자해」에서는, 초성 17자와 중성 11자의 제자 방법을 설명하고, 종성에 대해서는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이라 하였다.

이 말은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고 이미 만든 초성을 다시 쓴다는 뜻으로서 종성 제자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이 원칙에 따라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음으로써 ‘훈민정음’은 28자의 문자 체계가 된 것이다.

이 ‘종성부용초성’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음절에서, 그 요체는 중성이고 이 중성에 초성과 종성이 결합된다는 음절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대개 자운(字韻)의 중심은 중성에 있어서 초성과 종성이 어울러서 음절을 이룬다.”라고 하였고, 「중성해」에서도 중성은 “자운의 한가운데에 있어서 초성과 종성을 어울러서 음절을 이룬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의 세 요소로 나누어 그 요체를 중성으로 파악하여, 중성이 음절 핵 모음, 또는 모음에 반모음이 결합된 것으로 분석하면, 국어의 음절 구조적 특성으로 보아 중성 앞뒤에 위치하는 초성과 종성은 음절 부음으로서 동질적인 성격의 자음이 될 수밖에 없다.

초성과 종성이 같은 성격의 음이라는 이러한 인식은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음절과 음절의 통합에서 선행 음절의 종성이 후행 음절의 초성이 될 수 있다는 순환론적 방법론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음절의 초성과 종성이 동일한 음 부류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종성을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다시 쓴다고 한 ‘종성부용초성’은 종성 글자를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쓴다는 점에서 종성의 제자 원칙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종성부용초성’은 제자의 원칙이기는 하였지만 초성을 종성에 다시 쓰기로 함으로써 제자상의 규정에 그치지 않고 초성을 종성에 사용하는 종성 운용의 기준 문제로 넘어가게 된다. 즉 초성을 가지고 종성도 표기하도록 한 글자라면 초성은 곧 종성에도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초성을 종성에도 그대로 사용한다면, 이 말은 종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규정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훈민정음』의 「예의」에서는 초성과 중성의 음가와 사용법을 설명한 후 종성의 음가와 사용법을 설명해야 할 부분에서 종성부용초성이라 하여 종성은 초성을 다시 사용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은 「종성해」에서 완급에 의해 종성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종성해」에서 종성을 주1의 완급(緩急)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면서 “ ‘불청불탁’은 소리가 세지[勵] 않아 종성에 쓰면 주2, 주3, 주4에 마땅하고, ‘전청’, ‘차청’, ‘전탁’은 소리가 세어서 종성에 쓰면 주5에 마땅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ㆁ, , , , , ㅿ’ 6자는 평성, 상성, 거성의 종성이 되고 그 나머지는 모두 입성의 종성이 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전청, 차청, 전탁은 소리가 세기 때문에 모두 입성의 종성이 된다.’고 한 말은 초성을 위해 만든 전청, 차청, 전탁의 글자를 종성으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전제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종성부용초성’을 종성의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어서 「종성해」에서는 “그러나 종성으로는 8자만 사용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즉 4성의 완급에 따라 쓰면 모든 초성이 종성에 사용될 수 있겠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 , ㆁ, , ㄴ, , ㅁ, , ㄹ’ 8자만 써도 족하다고 하고 종성부용초성에 따라 쓴 ‘ᄇᆡᆺ곶(梨花)’과 ‘여ᇫ의갗(狐皮)’의 종성 ‘사이 시옷(ㅅ)’, ‘ ’, ‘ㅿ’, ‘ ’을 ‘ㅅ’으로 통용하여 ‘ᄇᆡᆺ곳, 엿의갓’으로 쓸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15세기 문헌에서는 대부분 ‘팔종성법’에 따라 종성에 ‘ㄱ, ㆁ, ㄷ, ㄴ, ㄹ, ㅂ, ㅁ, ㅅ’ 8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용비어천가』의 ‘곶, 높고, 좇거늘’ 등이나 『월인천강지곡』의 ‘곶, 낱, 붚, 높고, 맞나’ 등과 같이 일부 문헌에서는 8종성법에 따르지 않고 8종성 밖의 종성, 예컨대 ‘ㅈ, ㅊ, , ’ 등의 종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훈민정음』(박창원, 신구문화사, 2005)
『훈민정음 연구』(강신항, 수정증보7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국어사개설』(이기문, 신정판, 태학사, 1998)
『국어 표기법 연구』(이익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김주필, 『국제고려학회논문집』 1, 국제고려학회, 1999)
주석
주1

훈민정음에서, 중세 국어의 성조(聲調)를 중국의 전통적 술어인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을 그대로 적용하여 네 종류로 나눈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글자 왼쪽 곁에 방점을 찍어 표시하였다.    우리말샘

주2

중세 국어 사성(四聲)의 하나. 낮은 소리이다.    우리말샘

주3

중세 국어 사성(四聲)의 하나.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로, 글자에 표시할 때 왼쪽에 점 두 개를 찍는다.    우리말샘

주4

중세 국어 사성(四聲)의 하나. 높은 소리로, 글자에 표시할 때 왼쪽에 점 하나를 찍는다.    우리말샘

주5

중세 국어 사성(四聲)의 하나. 소리의 높낮이와는 별도로, 종성이 ‘ㄱ, ㄷ, ㅂ’로 끝나는 음절들을 묶은 것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주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