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호어목지 ()

난호어목지
난호어목지
동물
문헌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어류학에 관하여 1820년경에 저술한 연구서. 기술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어류학에 관하여 1820년경에 저술한 연구서. 기술서.
서지적 사항

1책 70장. 인본(印本). 서문 · 목차 · 발문 등이 없다.

내용

본문 가운데 ‘어명고(魚名攷)’에서는 강어(江魚) · 해어(海魚) · 논해어미험(論海魚未驗) · 논화산미견(論華産未見) · 논동산미상(論東産未詳) 등으로 나누어 논술하고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어명고라기보다는 어류학이라고 함이 마땅할 것이다.

‘강어’에는 잉어〔鯉〕 · 숭어〔鯔〕 · 거억〔鱸〕 · 독너울이〔鱒〕 · 붕어〔鮒〕 · 납작어〔䲙〕 · 참피리〔鰷〕 · 모래무지〔鯊〕 · 잠마자〔杜父魚〕 · 소갈어〔鱖〕 · 위어〔鱭〕 · 끼나리〔細魚〕 · 누치〔訥魚〕 · 모장이〔𩶢章魚〕 · 발강이〔赤魚〕 · 깔담이〔葛多岐魚〕 · 그리채〔文鞭魚〕 · 망둥이〔望瞳魚〕 · 밀어〔𧼛魚〕 · 거북자라 · 큰자라 · · 가장작은조개〔蚌〕 · 말씹조개〔馬力〕 · 주2 · 주3 · 달팽이 등 55종을 수록하고 있다.

‘해어’에는 조기〔石首魚〕 · 주4 · 민어〔鰵魚〕 · 준치〔鰣〕 · 주5 · 도미〔禿尾魚〕 · 주6 · 가자미〔鰈〕 · 서대〔舌魚〕 · 넙치〔華臍魚〕 · 병어〔鯧〕 · 방어〔魴〕 · 연어(年魚) · 송어(松魚) · 전어(錢魚) · 황어(黃魚) · 선비〔鮮白魚〕 · 범고기〔虎魚〕 · 물치〔水魚〕 · 삼치〔麻魚〕 · 중고기〔和尙魚〕 · 주7 · 무럼〔洪魚〕 · 청다래〔靑障泥魚〕 · 수거리〔繡䱟魚〕 · 몃〔鮧鱒〕 · 오징어〔烏賊魚〕 · 호독이〔柔魚 : 꼴뚜기〕 · 문어〔章文〕 · 낙지〔石距〕 · 주꾸미〔望潮魚〕 · 물암〔水母〕 · 해삼(海蔘) · 새우〔鰕〕 · 대모(玳瑁) · 생복〔鰒〕 · 바다긴조개〔海蚌〕 · 주9 · 주10 · 주11 · 함진조개〔𧍧䗯〕 · 가장큰조개〔車螯〕 · 강요규〔蚶〕 · 홍합〔淡菜〕 · 주12 · 굴조개〔牡蠣〕 · 흡힘〔海蠃〕 등 78종을 수록하고 있다.

‘논해어미험’에서는 저자가 경험하지 못한 물고기들을 『본초강목(本草綱目)』 ·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등을 인용하여 풀이하고 있는데, 그 수는 전(鱣) 등 9종이다. ‘논화산미견’에서는 중국 서적에 있는 것으로 저자가 보지 못한 물고기를 주1 등을 인용하여 서(鱮) 등 11종을 들고 있다. 또,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으로 알 수 없는 담라(擔羅) 1종을 들고 있는데, 총체적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물고기의 총수는 154종에 이른다.

서술방식은 물고기의 이름을 한자와 한글로 각각 적은 뒤 그 모양과 형태 · 크기 · 생태 · 습성 · 가공법 · 식미(食味)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후일 서유구가 저술한 『임원경제지』의 전어지(佃漁志)에 대부분 인용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주석
주1

고대 중국의 지리 책. 작가ㆍ연대 미상이며, 뤄양(洛陽)을 중심으로 한 산맥ㆍ하천ㆍ신화ㆍ전설ㆍ산물 따위를 수록하였다. 중국의 자연관과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8권. 우리말샘

주2

백합과의 조개. 몸의 길이는 25mm 정도이고 둥근 모양이며, 껍데기는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자색이다. 식용하며 개펄의 진흙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

우렁잇과의 고둥을 통틀어 이르는 말. 껍데기는 원뿔형이며 어두운 녹색이다. 무논, 웅덩이 등지에 산다. ⇒규범 표기는 ‘우렁이’이다. 우리말샘

주4

민어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고 꼬리자루가 가늘고 옆으로 납작하며, 회색을 띤 황금색이고 입술은 불그스름하다. 한국 서남해, 동ㆍ남중국해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5

청어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15cm 정도로 전어와 비슷하며 등은 청흑색, 옆구리와 배는 은백색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밴댕이’이다. 우리말샘

주6

‘청어’를 식료품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둑중갯과의 실횟대, 알롱횟대, 빨간횟대, 동갈횟대, 눈퉁횟대 따위의 어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20~30cm이고 원통 모양이며 갈색이다. 머리에 가시가 있고 입이 크다. 우리말샘

주8

익히지 아니한 전복. 우리말샘

주9

백합과의 조개. 껍데기는 길이가 8.5cm, 높이가 6.5cm, 폭이 4cm 정도이다. 흰빛을 띤 잿빛 갈색에 붉은 갈색의 세로무늬가 있고 매끄러우며 안쪽은 희다. 식용하며 껍데기는 바둑돌이나 물감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10

백합과의 조개. 몸의 길이는 25mm 정도이고 둥근 모양이며, 껍데기는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자색이다. 식용하며 개펄의 진흙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1

백합과의 조개. 껍데기의 길이는 4cm, 높이는 3cm 정도이며, 껍데기에 부챗살마루가 있고 회색을 띤 백색에 회색을 띤 청색의 무늬가 있으나 개체에 따른 변이가 심하다. 맛이 좋아 식용하며, 양식하기도 한다. 민물이 섞이는 바다의 모래펄에 사는데 한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2

작두콩가리맛조갯과의 하나. 길이는 10cm, 높이는 3cm, 폭은 2.3cm 정도이다. 껍데기는 앞뒤로 길쭉하고 가는 윤맥(輪脈)이 많다. 모래땅을 깊이 파고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