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호어목지 ()

난호어목지
난호어목지
동물
문헌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어류학에 관하여 1820년경에 저술한 연구서. 기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어류학에 관하여 1820년경에 저술한 연구서. 기술서.
서지적 사항

1책 70장. 인본(印本). 서문 · 목차 · 발문 등이 없다.

내용

본문 가운데 ‘어명고(魚名攷)’에서는 강어(江魚) · 해어(海魚) · 논해어미험(論海魚未驗) · 논화산미견(論華産未見) · 논동산미상(論東産未詳) 등으로 나누어 논술하고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어명고라기보다는 어류학이라고 함이 마땅할 것이다.

‘강어’에는 잉어〔鯉〕 · 숭어〔鯔〕 · 거억〔鱸〕 · 독너울이〔鱒〕 · 붕어〔鮒〕 · 납작어〔䲙〕 · 참피리〔鰷〕 · 모래무지〔鯊〕 · 잠마자〔杜父魚〕 · 소갈어〔鱖〕 · 위어〔鱭〕 · 끼나리〔細魚〕 · 누치〔訥魚〕 · 모장이〔𩶢章魚〕 · 발강이〔赤魚〕 · 깔담이〔葛多岐魚〕 · 그리채〔文鞭魚〕 · 망둥이〔望瞳魚〕 · 밀어〔𧼛魚〕 · 거북자라 · 큰자라 · · 가장작은조개〔蚌〕 · 말씹조개〔馬力〕 · 가막조개〔蜆〕 · 우렁〔田蠃〕 · 달팽이 등 55종을 수록하고 있다.

‘해어’에는 조기〔石首魚〕 · 황석수어〔黃石首魚〕 · 민어〔鰵魚〕 · 준치〔鰣〕 · 반당이〔勒魚〕 · 도미〔禿尾魚〕 · 비웃〔靑魚〕 · 가자미〔鰈〕 · 서대〔舌魚〕 · 넙치〔華臍魚〕 · 병어〔鯧〕 · 방어〔魴〕 · 연어(年魚) · 송어(松魚) · 전어(錢魚) · 황어(黃魚) · 선비〔鮮白魚〕 · 범고기〔虎魚〕 · 물치〔水魚〕 · 삼치〔麻魚〕 · 중고기〔和尙魚〕 · 횟대〔膾代魚〕 · 무럼〔洪魚〕 · 청다래〔靑障泥魚〕 · 수거리〔繡䱟魚〕 · 몃〔鮧鱒〕 · 오징어〔烏賊魚〕 · 호독이〔柔魚 : 꼴뚜기〕 · 문어〔章文〕 · 낙지〔石距〕 · 주꾸미〔望潮魚〕 · 물암〔水母〕 · 해삼(海蔘) · 새우〔鰕〕 · 대모(玳瑁) · 생복〔鰒〕 · 바다긴조개〔海蚌〕 · 대합조개〔文蛤〕 · 모시조개〔白蛤〕 · 참조개〔蛤蜊〕 · 함진조개〔𧍧䗯〕 · 가장큰조개〔車螯〕 · 강요규〔蚶〕 · 홍합〔淡菜〕 · 가리맛〔蟶〕 · 굴조개〔牡蠣〕 · 흡힘〔海蠃〕 등 78종을 수록하고 있다.

‘논해어미험’에서는 저자가 경험하지 못한 물고기들을 『본초강목(本草綱目)』 ·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등을 인용하여 풀이하고 있는데, 그 수는 전(鱣) 등 9종이다. ‘논화산미견’에서는 중국 서적에 있는 것으로 저자가 보지 못한 물고기를 『산해경(山海經)』 등을 인용하여 서(鱮) 등 11종을 들고 있다. 또,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으로 알 수 없는 담라(擔羅) 1종을 들고 있는데, 총체적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물고기의 총수는 154종에 이른다.

서술방식은 물고기의 이름을 한자와 한글로 각각 적은 뒤 그 모양과 형태 · 크기 · 생태 · 습성 · 가공법 · 식미(食味)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후일 서유구가 저술한 『임원경제지』의 전어지(佃漁志)에 대부분 인용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