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개념
작품의 길이가 단편소설보다 긴 장형의 서사양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편소설은 작품의 길이가 단편소설보다 긴 장형의 서사 양식이다. 흔히 200자 원고지 1,000매 이상의 분량을 지닌 소설을 장편소설로 분류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에 등장한 「구운몽」·「홍길동전」과 같은 소설이 장편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광수의 「무정」(1917)을 근대적인 장편소설의 본격적인 출발점으로 본다. 장편소설은 다양한 인물과 복잡한 사건을 통해 인생의 전체를 깊고 폭넓게 종합적으로 그린다. 1970년대 이후 박경리의 「토지」, 황석영의 「장길산」,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 대하장편소설이 등장했다.

목차
정의
작품의 길이가 단편소설보다 긴 장형의 서사양식.
내용

흔히 200자 원고지 1,000매 이상의 분량을 지닌 소설을 장편소설로 분류하기도 한다. 장편소설은 영어로 novel, 불어로는 roman이라고 지칭된다. 서구 문학에서는 장편소설이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서사양식으로서 중세기의 로망스에 이어 서사양식의 주류를 형성해 온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에 등장한 「구운몽(九雲夢)」 · 「홍길동전(洪吉童傳)」과 같은 소설이 모두 그 길이는 장편의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을 서구적인 개념의 장편소설과 동일시할 수는 없다. 근대적인 장편소설은 개화기 신소설의 등장과 함께 그 양식의 기반이 확립되었으며, 이광수(李光洙)「무정(無情)」(1917)이 그 본격적인 출발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편소설은 사회와 인간을 총체적으로 그린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단편소설이 단일한 인물 하나의 사건을 중심으로 인생의 단면을 예각적으로 그린다면, 장편소설은 다양한 인물과 복잡한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인생의 전체를 깊이와 폭넓게 종합적으로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장편소설은 인생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과 체험을 바탕으로 풍부한 사상과 깊이 있는 인생관을 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편소설은 압축된 구성이라든지 효과의 단일성 등을 노리지 않고, 인생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며, 다양한 삽화들을 하나의 전체적인 이야기로 통일하게 된다.

장편소설은 복합적 구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삽화들을 연결시켜 이야기를 발전시킨다. 장편소설에서는 여러 등장인물들이 서로 관련되어 여러 가지 사건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장편소설은 이야기의 중심을 이루는 사건 이외에도 부수적인 여러 가지 사건들이 서로 얽혀 그 내용이 풍부해진다. 요컨대, 장편소설은 인생과 사회 전체를 총체적으로 묘파함으로써, 인생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창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문학사에서 근대적인 의미의 장편소설의 등장은 개화 계몽시대의 신소설이 그 기반을 이루고 있다. 신소설은 근대화의 물결이 일기 시작한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이 등장한 소설의 형태로, 봉건적인 사회제도와 생활풍습이 변화하는 가운데 고전소설이 점차 쇠퇴하게 되자 새 시대의 삶과 의식을 반영하게 된다.

이인직(李人稙)「혈의루」(1906) · 「치악산」(1908) · 「은세계」(1908) 등에 이어, 이해조(李海朝)「빈상설」(1908) · 「구마검」(1908) · 「화의 혈」(1912) 등을 발표하였고, 최찬식(崔讚植)「추월색」(1912)도 간행되었다.

「혈의루」는 조선 말기 청일전쟁을 겪은 평양의 한 가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의 줄거리는 청일전쟁 때문에 파괴된 한 가족의 비극적인 삶을 강조하면서 가족을 잃은 주인공을 개화의 길로 인도하여 새로운 삶을 열어 가도록 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이야기구조는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1917)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 소설은 개인의 운명적인 삶과 시대적 조건을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그 근대적 성격이 주목되고 있다. 소설 「무정」은 문명 개화와 신교육의 가치를 모든 사회적인 요건 가운데 최선의 것으로 내세우면서 그러한 가치를 신봉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설의 여주인공 박영채의 경우, 구시대의 질서가 붕괴되는 과정 속에서 운명적으로 희생을 감수해야 했고, 새로운 문명 개화의 이념을 붙잡게 됨으로써 재생의 가능성을 얻게 되었다고 할 것이다.

일제 식민지시대의 장편소설 가운데 이기영(李箕永)「고향(故鄕)」은 농민들의 구체적 삶에 기반한 사건 전개와 생동하는 농민들의 형상을 창조하면서 궁핍한 생활 속에서 허덕이는 소작 농민들의 고통과 이들을 착취하는 지주 세력의 횡포를 대조적으로 제시한다. 한설야(韓雪野)의 「황혼(黃昏)」은 방직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식민지 예속 자본가 계층의 생활과 이 자본가들의 행태에 반발하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염상섭(廉想涉)「삼대(三代)」는 조부에서 손자에 이르는 한 가족 삼대에 걸친 이야기를 토대로 한말에서부터 식민지시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의 사회상을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며, 채만식(蔡萬植)「탁류(濁流)」는 전통적인 인습과 새로운 풍속이 서로 맞부딪치는 과정 속에서 한 개인이 겪어야 했던 시련과 역경을 그려 놓고 있다. 박태원(朴泰遠)「천변풍경(川邊風景)」은 삽화 중심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이야기와 소도구처럼 개별화된 등장인물들의 배치를 통해, 일상적 공간의 소설적 재현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1930년대 후반에는 홍명희(洪命熹)「임꺽정」, 이광수의 「마의태자」, 김동인(金東仁)「운현궁의 봄」, 현진건(玄鎭健)「무영탑」, 박종화(朴鍾和)「금삼의 피」 등의 역사소설이 발표되어 장편소설의 영역을 더욱 확대시켜 놓고 있다.

이 밖에도 현진건의 「적도(赤道)」는 애정 갈등을 주축으로 물신주의와 향락이 판을 치는 세태의 변모를 묘사하고 있으며, 심훈(沈熏)「상록수」농촌계몽운동의 실천적 방향을 소설화하고 있다. 이광수의 「흙」, 김남천(金南天)「대하(大河)」, 이기영의 「봄」, 한설야의 「탑」 등도 이 시기 소설적 성과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광복 이후에는 황순원(黃順元)의 장편소설이 우선 주목된다. 「카인의 후예」(1954)는 해방 직후 북한에서 체험했던 살벌한 테러리즘을 소재로 삼고 있는데, 인간의 자유 의지를 짓밟아 버리는 맹목적인 이데올로기의 횡포에 대한 비판을 드러낸다. 「인간접목」「나무들 비탈에 서다」와 함께 전쟁의 참상과 그 상처를 극복하는 과정을 문제삼고 있는 작품으로 전후 상황을 직시하고 있는 작가의 폭넓은 관점과 휴머니즘의 정신이 더욱 돋보인다.

안수길(安壽吉)「북간도」(1959)는 조선 말기부터 일제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민족사의 단계를 북간도에 이주해 살고 있는 한 가족을 중심으로 서술해 놓고 있으며, 최인훈(崔仁勳)의 「광장」(1961)은 민족의 분단과 이데올로기적인 갈등을 그리면서 북쪽의 사회구조가 갖고 있는 폐쇄성과 집단의식의 강제성을 고발하고, 동시에 남쪽의 사회적 불균형과 방일한 개인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의 소설문단에서 가장 특이한 성과로 평가되는 것은 대하장편소설의 등장이다. 역사적 상황에서 출발하여 현실적 삶의 문제까지 그 관심을 확대시키고 있는 박경리(朴景利)「토지」, 황석영(黃晳暎)의 「장길산」, 김주영(金周榮)의 「객주」 등이 1970년대의 오랜 발표 과정을 거쳐 완결을 볼 수 있었으며, 조정래(趙廷來)의 「태백산맥」, 이문열(李文烈)의 「변경」 등이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소설문단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소설들은 모두 그 분량에서 한국 현대소설이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규모의 방대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인물과 변화 있는 사건 구성을 통해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