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거문회 ()

공거문회
공거문회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헌종대에서 고종 때까지 여러 관원들의 상소문과 차자를를 모아 수록한 소차집. 장주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헌종대에서 고종 때까지 여러 관원들의 상소문과 차자를를 모아 수록한 소차집. 장주문.
서지적 사항

11책. 필사본. 편자와 편년은 미상. 겉표지에는 ‘공거유서(公車類書)’라 되어 있다.

개설

본래 ‘공거’란 장주(章奏)를 관장하는 관청이다. 글을 올리려는 자들이 나아가고, 때로는 조서(詔書)를 기다리는 자들이 거처하며 명령을 기다릴 때 숙식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후대에 ‘공거문’은 주로 소장(疏章)의 글을 지칭하게 되었다.

내용

이 책은 각 관서별로 편집되어 있으나 지은이의 관직·성명과 날짜만이 부기되어 있을 뿐, 일정한 분류 체계가 없다. 내용은 사직(辭職)·걸치사(乞致仕)·사가자(辭加資)·사겸대(辭兼帶) 등이 대다수이다. 각 소차 글箚)의 끝에는 왕의 비답이 붙어 있다. 각 책에 수록된 관서와 지은이의 관직·성명 및 편수는 다음과 같다.

제1책과 제2책 전반부는 의정부로 영의정 정원용(鄭元容)·조인영(趙寅永)·김좌근(金左根), 좌의정 김도희(金道喜)·이헌구(李憲球), 우의정 박회수(朴晦壽) 등 총 95편이다. 제2책 후반부와 제3책 전반부는 중추부로 판부사 박회수, 영부사 조인영, 판부사 권돈인(權敦仁), 지사 김흥근(金興根)에서 행지사 김병국(金炳國), 지사 김보근(金輔根)·심의면(沈宜冕)까지 총 101편이다.

제3책 중반부는 우참찬 조병기(趙秉夔), 좌참찬 남병철(南秉哲), 우참찬 김병학(金炳學)의 총 3편이며, 제3책 후반부와 제4책 전반부는 이조판서 이약우(李若愚)·남병철, 참판 이규방(李圭夔)·신석희(申錫禧), 참의 홍영규(洪永圭)·김덕근(金德根) 등 총 249편이다.

제5책 후반부와 제6책 전반부는 호조로 판서 김학성(金學性)·이겸재(李謙在), 참판 한정교(韓正敎)·김병덕(金炳德) 등 총 37편이며, 제6책 후반부는 병조로 판서 홍재철(洪在喆)·남헌교(南獻敎), 참판 이종우(李坐愚), 겸병판(兼兵判) 김병학 등 총 68편이다.

제7책은 형조로 판서 김경선(金景善), 참판 정최조(鄭㝡朝) 등의 총 5편과 공조판서 이돈영(李敦榮), 공조참의 성원묵(成原默) 등의 총 7편 및 대제학 서기순(徐箕淳), 직제학 김병필(金炳弼), 직각 이교익(李喬翼), 대교 민규호(閔奎鎬) 등의 총 65편이다.

제8책은 대사성 김덕희(金德喜)·조병학(趙秉學) 등 총 56편과 개성유수 이시원(李是遠), 강화유수 황호민(黃浩民)·남병철(南炳哲) 등의 총 40편이며, 제9책과 제10책 전반부는 관찰사로 경기도관찰사 홍우철(洪祐喆), 함경도관찰사 윤치수(尹致秀) 등의 총 96편이다.

제10책 중반부는 돈녕부로, 동부사 박제헌(朴齊憲), 판부사 김병국, 영부사 김문근(金汶根) 등의 총 37편 및 우윤 이공익(李公翼), 판윤 이유원(李裕元) 등 총 11편이며, 제10책 후반부와 제11책 전반부는 호군 김덕희, 상호군 신석희(申錫禧) 등 총 66편이다.

제11책 후반부는 총융사 김좌근, 금위대장 김좌근, 훈련대장 김병국의 3편,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흥선군(興宣君) 이하응(李昰應), 풍안군(豊安君) 조연흥(趙然興) 등의 총 7편, 일강관(日講官) 김병국 등의 총 2편, 유일(遺逸) 송내희(宋來喜)·송달수(宋達洙)·김병준(金炳駿)의 3편, 비국유사당상(備局有司堂上) 김병국 등의 총 2편, 도승지 김병운(金炳雲) 등의 총 3편, 정언 이구익(李九翼)의 1편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공거문을 편찬한 책은 이 책 외에도 ≪공거문≫·≪공거문초≫·≪공거문총≫·≪공거유선≫·≪공거유집≫·≪공거유편≫ 등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을 수록했으나, ≪공거유편≫은 대상 시기가 비교적 넓고 시사(時事)를 논한 것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내용항목별로 분류되어 있어 주목된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순범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