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삼품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5등급의 품계.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5등급의 품계.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 무산계 상계는 절충장군(折衝將軍), 하계는 주1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무산계 하계의 과의장군은 1466년(세조 12) 어모장군(禦侮將軍)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한편, 1443년(세종 25) 종친계 정3품의 상계를 명선대부, 하계를 창선대부로 신설하고, 1444년에는 의빈계 정3품의 상계 · 하계를 봉준대부 · 정순대부로 정비하였다. 그런데 종친계와 의빈계는 1865년(고종 2)부터 문산계의 품계명을 사용하였다.

문무관 처의 직명은, 정3품 당상관 처는 숙부인(淑夫人), 당하관 처는 숙인(淑人)이라고 하였다. 또한 종친의 경우 정3품 당상관 처는 신부인(愼夫人), 당하관 처는 신인(愼人)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1865년부터 대군과 왕자의 처 이외에는 종친 처의 직명도 문무관 처의 직명례에 따라 숙부인 또는 숙인이라고 하였다.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도정 · 부위 · 참의 · 참지 · 도승지 · 좌승지 · 우승지 · 좌부승지 · 우부승지 · 동부승지 · 판결사 · 대사간 · 참찬관 · 부제학 · 규장각 직제학 · 대사성 · 좨주 · 수찬관 · 찬선 · 보덕 · 첨지 · 오위장 · 위장 · 선전관 · 내승 · 군문 별장 · 천총 · 겸사복장 · 금군장 · 우림위장 · 기사장 · 충장장 · 충익장 · 호위별장 · 수군절도사 · 병마절도사 · 진영장 · 외영장군 · 남한유영별장 · 성기별장(城機別將) · 북한관성별장 등이 있다.

그리고 정3품 당하관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첨위 · · 직제학 · 편수관 · 좌유선 · 우유선 · 판교 · 좌통례 · 우통례 · 제거 · 찬선 · 상호군 · 목사 · 대도호부사 등이 있다.

정3품 당상관에게는 1438년(세종 20)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해 실직(實職)에 따라 1년에 네 차례에 걸쳐 주2 11석, 주3 32석, 전미(典米) 2석, 주4 15석, 주5 7석, 주(紬) 4필, 주6 13필, 주7 8장을 지급하였다.

한편, 정3품 당하관은 중미 10석, 조미 30석을 지급받았고, 전미 이하는 당상관과 똑같이 지급받았다. 아울러 정3품 당상관에게는 65결의 직전이 지급되었고, 당하관에게는 60결이 지급되었다.

그러나 1556년(명종 11) 주8이 완전히 폐지되자, 정3품에게 지급되던 녹봉은 『속대전』에는 당상관에게는 매달 미 1석9두, 황두 1석5두를, 당하관에게는 미 1석2두, 황두 1석2두를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

한편, 1894년 7월 갑오경장으로 관제개혁이 이루어질 때 정3품 · 종3품은 3품으로 개칭되고, 품계는 통정대부로 단일화되었다. 3품에 해당하는 관직은 참의였고, 이들에게는 80원의 월봉이 지급되었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조선초기 양반연구』(이성무, 일조각, 1980)
「朝鮮初期の文武散階」(李成茂, 『朝鮮學報』 102, 1982)
주석
주1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둔, 정삼품 당하관의 무관 품계. 세조 12년(1466)에 어모장군으로 이름을 고쳤다. 우리말샘

주2

품질이 중간쯤 되는 쌀. 우리말샘

주3

벼를 매통에 갈아서 왕겨만 벗기고 속겨는 벗기지 아니한 쌀을 만드는 일. 우리말샘

주4

누런빛이 나는 콩의 하나. 우리말샘

주5

볏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0.9~1.5미터로 마디가 있고 속은 비어 있다. 꽃이삭은 6~12cm이고 줄기 끝에 달리는데 방추형이다. 중요한 농산물의 하나로 기원전 3~4천 년부터 재배하여 왔으며, 현재 세계의 농작물 가운데 가장 넓은 재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간장, 된장, 빵, 과자 따위의 원료로 쓴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카스피해 지역이 원산지이다. 우리말샘

주6

품질이 좋은 베. 우리말샘

주7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닥나무 껍질로 만들어 쓰던 종이돈. 고려 공양왕 4년(1392)에 발행하였지만 본격적인 유통은 안 되었으며, 조선 태종 원년(1401)에 사섬서를 설치하고 이듬해 저화 2,000장을 발행하였다. 발행 초기에는 한 장이 쌀 두 말의 값어치를 가졌으나 그 뒤 돈의 가치가 계속 떨어져 겨우 쌀 한 되의 값어치를 가지게 되었으며, 중종 7년(1512)경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현직 관리들에게 토지를 지급하기 위하여 제정한 제도. 세조 12년(1466)에 과전법을 고쳐서 제정한 것으로, 경기(京畿)의 과전이 부족해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현직 관료에 한하여 과전을 대폭 줄여 지급하도록 한 것인데, 중기 이후에 없앴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성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