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정리 · 집대성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ㄱ
- 뱀띠
- 범띠
- 감자
- 개피떡
- 구렁덩덩 신선...
- 김장
- 나물 캐는 노...
- 닭띠
- 말
목조 건축 구조 부재의 짜임새 전체를 가리키는 건축 용어.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 장군 관련 성곽. 성곽터.
인위적으로 산의 모습을 만들어 정원의 일부를 구성하게 한 조원술.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소재하는, 조선 후기에 축조된 영남 제일의 산성.
경상북도 영주시 구성산(龜城山)에 있는 조선시대 영천군 동헌의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북한 강원도 안변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4대 효성왕 연간에 건립한 누정. 누각.
고려 전기에, 서북면행영도통사, 상원수대장군,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일본의 조선지배정책사 연구」, 「한국노동조합운동사」 등을 저술한 역사학자.
조선 전기에, 예문관제학, 의정부우참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대한제국기 때, 심남일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한 의병.
일제강점기 때, 조선공산당 만주부 조직 책임, 대한민국 특무부대 장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 운동가.
조선 후기에, 예방승지, 협판교섭통상사무,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민속학회 이사, 한국비교문학회 회장, 한국복식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문학개설』, 『한국가요의 연구』, 『고소설판각본전집』 등을 저술한 국문학자.
조선 후기에, 고령진첨사, 창성부사, 동래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조선 중기에, 함창현감, 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함창에서 의병 대장으로 활약하다가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생활을 하던 중에 「농가월령가」를 저술했다고 추정되는 문신.
조선 후기에, 시강원보덕, 첨지사, 함경도암행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조선 후기에, 「황강구곡가」, 「도통가」, 『옥소집』 등을 저술한 문인.
조선 전기에, 「독락팔곡」, 「한거십팔곡」, 『송암집』 등을 저술한 문인.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광학 교육과 연구에 힘썼으며, 『자연과학개론』, 『일반물리학』, 『현대물리학』 등을 저술한 물리학자.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 교수, 한국섬유공학회 회장, 한국표준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공학자.
조선후기 『신법중성기』, 『신법누주통의』, 『국조역상고』 등을 저술한 역관(曆官).
일제강점기 요업기술자, 과학기술 진흥 및 대중화에 힘쓴 사회운동가.
포항공과대학의 설립을 주도하며 한국의 과학교육에 힘쓴 물리학자 · 교육자.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한산도해전, 명량해전 등과 관련된 무신.
금성사 사장, 호남정유 대표,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실업가.
대한제국기 때, 보성전문학교 강사, 광신상업학교 교사 등을 역임한 교육자 · 경제학자.
일제강점기 경성방직 사장, 삼양사 사장, 한국경제협의회 초대회장 등을 역임한 기업인. 친일반민족행위자.
해방 이후 경방주식회사 명예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한 기업인.
한국은행 총재, 주일대사, 재무부장관 등을 역임한 은행가 · 외교관 · 정치인.
해방 이후 제일화재해상보험 대표이사,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실업가.
문교부 장학실장, 부산직할시교육위원회 교육감,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교육자.
해방 이후 인천중학교 교장, 제물포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일제강점기 무교회주의를 제창한 교육자. 종교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및 학장, 한국교육학회 초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철학개론』, 『현대정신사』, 『윤리전서』 등을 저술한 철학자 · 교육학자.
해방 이후 『조선가족제도연구』 · 『현대의 가족』 등을 저술한 학자. 교육자.
조선전기 수교리, 예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해방 이후 『한국민속연구』, 『한국민속학개론』, 『한국의 촌제』 등을 저술한 학자. 민속학자.
일제강점기 때, 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였으며, 해방 후에 서울대학교에 인류학과를 개설하고, 국립민족박물관을 설립한 민속학자.
해방 이후 『고려이전한국식생활사연구』, 『한국요리문화사』, 『한국식생활의 역사』 등을 저술한 학자. 농화학자, 식품영양학자.
해방 이후 『우리나라 옷』, 『한국복식사』, 『관모와 수식』 등을 저술한 학자. 민속학자.
해방 이후 숙명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초대학장을 역임한 교육자. 가정학자.
해방 이후 「조선왕조 궁중음식」 전승자로 지정된 기능보유자. 음식연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