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팔품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의 18품계(品階) 중 제15등급의 품계.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18품계(品階) 중 제15등급의 품계.
개설

무산계(武散階)는 995년(성종 14)에 선절교위(宣折校尉)와 선절부위(宣折副尉)로 제정되었고, 문산계(文散階)는 1076년(문종 30)에 급사랑(給事郎)과 징사랑(徵事郎)으로 정비되었다.

내용

문종 관제에 의하면, 동반경관직(東班京官職)으로 국자감의 사문박사(四門博士), 군기감(軍器監)의 주부(注簿), 태사국(太史局)의 영대랑(靈臺郎), 양온서(良醞署)·도염서(都染署)·잡직서(雜職署)·사의서(司儀署)·수궁서(守宮署)·전옥서(典獄署)의 영(令), 중상서(中尙署)·경시서(京市署)·장야서(掌冶署)의 승(丞), 내고(內庫)의 부사, 솔갱시(率更寺)의 약장승(藥藏丞) 등이 있었다.

서반직(西班職)으로는 산원(散員), 남반직(南班職)으로 액정국(掖庭局)의 좌우시금(左右侍禁)이 있었다. 외관(外官)으로는 서경(西京)·동경(東京)·남경(南京)과 대도호부(大都護府)·중도호부·목(牧)·방어진(防禦鎭)·주(州)·군(郡)의 법조(法曹)가 8품 이상으로 임명되었으며, 현(縣)의 현위(縣尉)와 진(鎭)의 부장(副將)이 8품 관직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1116년(예종 11)서경(西京)의 속관 가운데 분사국자감(分司國子監)의 박사(博士), 분사태사국(分司太史局)의 지사, 분사태의감(分司太醫監)의 판감(判監)·지감(知監) 등이 역시 8품 관직으로 되었다가 1136년(인종 14)에 모두 혁파되었다.

1138년에 의조(儀曹)·병조(兵曹)·호조(戶曹)·창조(倉曹)·보조(寶曹)·공조(工曹) 등이 설치되고 각 조의 영을 8품 관직으로 두었다.

한편, 1134년에 제정된 음직(蔭職) 수여규정에 따르면, 치사(致仕)한 재신(宰臣) 및 재임 중인 재신의 친아들에게 군기주부동정(軍器注簿同正)이, 전대(前代) 재신·추밀(樞密)·좌우복야(左右僕射)·3품관인의 친아들 및 직자 및 치사(致仕)한 재신(宰臣) 및 재임 중인 재신의 수양자(收養子)· 친손자[內孫]·외손자[外孫]·생질[甥]·조카[姪]에게는 양온령동정을 각각 첫 음직(蔭職)으로 수여하였다.

그 뒤 한림원·사관(史館)의 권무직(權務職)인 직원(直院)·직사관(直史館)이 8품 관직으로 되었다가, 1220년(고종 7)에 다시 권무직으로 되었다. 1178년(명종 8)에는 서경의 법조가 8품 서기(書記)로 바뀌었다가 고종 때 혁파되었고, 1256년에는 현위가 혁파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해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자, 광정원(光政院)의 계의참군(計議參軍)이 정8품 관직으로 되었다가 곧 광정원의 폐지로 혁파되었다.

1308년 충선왕이 복위해 다시 관제개혁을 단행하였다. 문산계가 정8품·종8품을 합쳐 징사랑으로 개정되었다. 관직에도 변화가 일어나 예문춘추관의 주부, 서운관(書雲觀)의 시일(視日), 침원서(寢園署)·중상서·경시서의 승, 사온서(司醞署)·사선서(司膳署)·사설서(司設署)의 부직장(副直長), 내알사(內謁司)의 좌우시금 등이 정8품 관직이 되었다.

이와 함께 동경·남경이 각각 계림부(鷄林府)·한양부(漢陽府)로 개편되면서 한양부의 법조는 혁파되었다. 1310년(충선왕 2)도교서(都校署)·도염서의 영과 자섬사(資贍司)의 주부가 정8품 관직으로 되었다. 1313년 연경궁제거사(延慶宮提擧司)의 사약(司鑰)이 정8품 관직으로 신설되었다.

그 뒤 예문춘추관이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되면서 각각 수찬(修撰)을 두었다. 이 밖에 성균관(成均館)의 진덕박사(進德博士)와 전교시(典校寺)의 주부, 잡직서의 영 등이 정8품 관직으로 되었으며, 침원서의 승과 내알사의 좌우시금은 종8품으로 강등되고, 사선서·사설서의 부직장은 혁파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정치의 일환으로 관제개혁이 이루어지면서 문산계는 정9품·종9품을 합쳐 승사랑(承事郎)으로 개정되었다.

정8품 관직으로 한림원(翰林院)·사관(史館)의 검열(檢閱)과 국자감의 사문박사·명경박사(明經博士), 비서감(祕書監)의 비서랑(祕書郎), 태사국의 영대랑, 개성부(開城府)의 현승(縣丞) 등이 신설되었다. 사온서의 부직장, 경시서 승, 도교서 영은 혁파되거나 종8품으로 강등되었다.

그 뒤 1361년에 문산계가 징사랑으로 고쳐지고, 군기감의 녹사(錄事)가 정8품 관직으로 신설되었다. 나머지 관제는 대체로 1356년 이전의 상태로 환원되었다. 그리고 1369년에 다시 1356년의 개정관제가 복구되었으며, 1371년에 또다시 1356년 이전의 관제로 환원되었다.

한편, 공민왕 때에는 환관 관부로서 내시부(內侍府)가 설치되어 궁위승(宮衛丞)이 정8품 관직으로 되었다가, 우왕 때 내시부의 폐지와 함께 혁파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음서제도연구(高麗蔭敍制度硏究)』(김용선, 한국연구원, 1987)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문산계(文散階)」(박용운, 『진단학보(震檀學報)』 52, 1981)
집필자
변태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