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락개념용어
사회·경제·정치 활동의 중심으로서, 수천·수만 명 이상의 인구가 집단거주하여 가옥이 밀집되어 있고 교통로가 집중되어 있는 지역.
도 시 명 | 설정시기 | 구 분 | 설 정 근 거 | 조계·거류지 설정여부 |
---|---|---|---|---|
부 산 | 1876. 8.24. | 개항장 | 조·일 수호조규 및 그 부록 | 일본 전관 거류지 |
원 산 | 1880. 5. 1. | 청국 전관 조계 | ||
인 천 | 1883. 1. 1. | 개항장 | 통상 및 조·영수호조약 | 일본 전관 거류지,일본전관조계,각국 공동 조계 |
한 성 | 1882. | 개시장 | 조·중수륙무역장정 및 조·영수호조약 | 잡거지 |
용 산 | 1884.10. 6. | 개시장 | 통상 및 일본공사와 조선정부간 왕복공문 | 잡거지 |
경 흥 | 1888. 8.20. | 개시장 | 조·아육로통상장정 | 잡거지 |
목 포 | 1897. 10. 1. | 개항장 | 외국사신들에게 통고 | 각국 공동 조계 |
진 남 포 | ||||
군 산성 진 | 1899. 5. 1. | 개항장 | 외국사신들에게 통고 | 각국 공동 조계 |
마 산 | 각국 공동 조계, 일본 전관거류지, 러시아 조차지 | |||
평 양 | 1899.11.13. | 개시장 | 주한사신단의 선언 | 잡거지 |
의 주 | 1904. 2.25. | 개시장 | 한국정부의 선언 | 잡거지 |
용 암 포 | 1904. 3.23. | 개항장 | 한국정부의 선언 | 잡거지 |
청 진 | 1908. 1. 7. | 개항장 | 한국정부칙령 | 잡거지 |
도시(범역) | 계 | 한국인 | 일본인 | 중국인 | 구미인 |
---|---|---|---|---|---|
한성부(용산 포함)부산(부산면·사중면·사하면)평양(성내·내천면·외천면)인천(부내면·다소면)개성(동부·서부·남부·북부)제주(중면)원산(원산항)함흥(읍내)해주(주내면)경성(오촌사)전주(부내)통영(현 충무, 진남군 동면·가좌면)대구(동상면·서상면)마산(창원부 외서면)진주(성내면·성외면)삼랑진(밀양군 하동면)충주(읍내·남변·북변) | 218,22539,74331,57627,89627,70116,68614,84513,70713,32712,83912,61712,48512,15011,88111,13911,06010,561 | 199,32523,47826,18114,99326,26116,57210,34112,84013,07412,10412,19812,0379,6388,58210,63311,06010,561 | 16,64316,0404,84311,4671,3091134,225857240※7353864422,4683,219502-- | 2,1321975031,373118-247613-2163678--- | 125284963131324--12-824-- |
계 | 498,438 | 429,878 | 63,489 | 4,730 | 341 |
주: 鏡城에는 羅南洞 거주 일본인 158인 포함. |
도시(범역) | 계 | 한국인 | 일본인 | 중국인 | 구미인 | |
---|---|---|---|---|---|---|
경기 | 수원(읍내·남부면·북부면) | 6,738 | 6,458 | 274 | 2 | 4 |
강원 | 원주(부내면) | 5,061 | 5,061 | - | - | - |
철원(내변면) | 5,076 | 5,076 | - | - | - | |
이천(伊川, 동읍면·하읍면) | 5,185 | 5,175 | 10 | - | - | |
충북 | 청주(북주내면·동주내면·남주내면) | 6,925 | 6,925 | - | - | - |
제천(현우면·현좌면) | 5,253 | 5,253 | - | - | - | |
충남 | 공주(부내면·남부면) | 6,805 | 6,539 | 194 | 64 | 8 |
전북 | 남원(읍내) | 7,799 | 7,740 | 59 | - | - |
전남 | 광주(성내·공수방·기례방·부동방) | 5,432 | 5,039 | 387 | - | 6 |
목포(무안군 부내면) | 7,347 | 4,396 | 2,873 | 72 | 6 | |
경북 | 상주(내동면·내남면·내북면) | 9,551 | 9,455 | 96 | - | - |
경주(부내면) | 8,553 | 8,494 | 59 | - | - | |
김천(김산군 내면·김천면) | 7,872 | 7,450 | 397 | 25 | - | |
안동(부내) | 5,792 | 5,754 | 38 | - | - | |
예천(동·서·남·북 읍내면) | 6,103 | 6,090 | 13 | - | - | |
성주(용산면·남산면·본아면) | 5,396 | 5,382 | 14 | - | - | |
의성(남부면·북부면) | 7,186 | 7,178 | 8 | - | - | |
경남 | 동래(동래면 수면) | 8,548 | 8,355 | 193 | - | - |
구포(동래군 좌이면) | 5,310 | 5,156 | 154 | - | - | |
사상(沙上, 동래군 사상면) | 5,241 | 5,241 | - | - | - | |
창원(부내면) | 5,964 | 5,805 | 159 | - | - | |
밀양(부내면) | 8,205 | 7,827 | 374 | 4 | - | |
울산(상부내면) | 6,369 | 6,210 | 158 | 1 | - | |
병영(兵營, 울산군 내상면) | 5,521 | 5,516 | 5 | - | - | |
삼천포(사천군 문선면·수남면) | 5,730 | 5,662 | 68 | - | - | |
고성(동읍면·서읍면) | 7,724 | 7,643 | 81 | - | - | |
남해(읍내) | 5,891 | 5,878 | 13 | - | - | |
거제(서부면) | 5,071 | 5,057 | 14 | - | - | |
하동(덕양면) | 5,422 | 5,392 | 30 | - | - | |
황해 | 배천(白川, 동촌면·서촌면) | 5,500 | 5,500 | - | - | - |
봉산(동선방) | 5,083 | 4,776 | 307 | - | - | |
황주(제안방) | 6,326 | 5,936 | 383 | 7 | - | |
평남 | 진남포(삼화항 항내) | 9,269 | 6,367 | 2,729 | 170 | 3 |
개천(价川, 읍내·군서면) | 5,718 | 5,703 | 15 | - | - | |
평북 | 의주(주내면) | 5,658 | 5,443 | 188 | 27 | - |
박천(군내면) | 5,403 | 5,378 | 25 | - | - | |
철산(고성면) | 5,423 | 5,414 | 7 | 2 | - | |
함남 | 북청(읍내) | 6,521 | 6,337 | 184 | - | - |
함북 | 성진(학성면) | 8,840 | 8,492 | 336 | 6 | 6 |
명천(하우사) | 6,976 | 6,965 | 11 | - | - |
도시 | 인구 | 면적(㎢) | 인구밀도 |
---|---|---|---|
한성 | 218,225 | 250.61 | 871 |
부산 | 39,743 | 33.56 | 1,184 |
평양 | 31,576 | 6.50 | 4,858 |
인천 | 27,896 | 6.35 | 4,390 |
개성 | 27,701 | 13.99 | 1,980 |
청주 | 16,686 | 254.76 | 65 |
원산 | 14,845 | 6.74 | 2,203 |
함흥 | 13,707 | 2.38 | 5,759 |
해주 | 13,327 | 10.89 | 1,224 |
경성 | 12,839 | 373.05 | 34 |
전주 | 12,617 | 2.14 | 5,896 |
통영 | 12,485 | 5.93 | 2,105 |
대구 | 12,150 | 7.23 | 1,680 |
마산 | 11,881 | 9.78 | 1,215 |
진주 | 11,139 | 8.56 | 1,301 |
삼랑진 | 11,060 | 78.54 | 121 |
충주 | 10,561 | 91.35 | 116 |
수원 | 6,738 | 3.15 | 2,142 |
원주 | 5,061 | 38.42 | 132 |
철원 | 5,076 | 45.93 | 111 |
이천(伊川) | 5,185 | 119.08 | 44 |
청주 | 6,925 | 0.82 | 8,445 |
제천 | 5,253 | 56.82 | 92 |
공주 | 6,805 | 2.16 | 3,150 |
남원 | 7,799 | 14.00 | 557 |
광주 | 5,432 | 2.14 | 2,538 |
목포 | 7,347 | 2.41 | 3,949 |
상주 | 9,551 | 89.93 | 106 |
경주 | 8,553 | 37.00 | 231 |
김천 | 7,872 | 4.49 | 1,753 |
안동 | 5,792 | 44.53 | 130 |
예천 | 6,103 | 41.15 | 148 |
성주 | 5,396 | 37.12 | 145 |
의성 | 7,186 | 69.19 | 104 |
동래 | 8,548 | 61.68 | 139 |
구포 | 5,310 | 47.32 | 112 |
사상(沙上) | 5,241 | 38.22 | 137 |
창원 | 5,964 | 29.55 | 202 |
밀양 | 8,205 | 28.96 | 283 |
울산 | 6,369 | 40.75 | 156 |
병영(兵營) | 5,521 | 30.63 | 180 |
삼천포 | 5,730 | 35.94 | 159 |
고성 | 7,724 | 32.11 | 240 |
남해 | 5,891 | 22.18 | 266 |
거제 | 5,071 | 22.67 | 224 |
하동 | 5,422 | 29.58 | 183 |
배천(白川) | 5,500 | 51.37 | 107 |
봉산 | 5,083 | 62.69 | 81 |
황주 | 6,326 | 41.27 | 153 |
진남포 | 9,269 | 10.86 | 854 |
개천(价川) | 5,718 | 59.70 | 96 |
의주 | 5,658 | 3.82 | 1,481 |
박천 | 5,403 | 46.47 | 116 |
철산 | 5,423 | 35.31 | 154 |
북청 | 6,521 | 79.74 | 82 |
성진 | 8,840 | 9.19 | 962 |
명천 | 6,976 | 108.73 | 64 |
계 | 756,225 | 2,699.44 | 280 |
연도\구분 | 전국인구 | 도시인구(읍포함) | 농촌인구 | ||
---|---|---|---|---|---|
1949 | 20,189 | 5,487 | 26.7% | 14,702 | 73.3% |
1955 | 21,526 | 7,072 | 32.9% | 14,454 | 67.0% |
1960 | 24,989 | 9,256 | 37.5% | 15,733 | 63.0% |
1966 | 29,193 | 12,463 | 42.7% | 16,730 | 57.3% |
1970 | 31,466 | 15,729 | 50.2% | 15,654 | 49.8% |
1975 | 34,709 | 20,536 | 59.2% | 14,173 | 40.8% |
1980 | 37,449 | 25,982 | 69.4% | 11,467 | 30.6% |
연도\구분 | 전국인구 | 서울인구 | 6대도시인구 (서울포함) | 전시인구 | 읍인구 |
---|---|---|---|---|---|
1955 | 21,526 | 1,575 | 3,825 | 5,281 | 1,791 |
1960 | 24,989 | 2,445 | 5,131 | 6,997 | 2,259 |
1966 | 29,209 | 3,805 | 7,331 | 9,810 | 2,653 |
1970 | 31,446 | 5,433 | 9,874 | 12,929 | 2,800 |
1975 | 34,709 | 6,889 | 12,568 | 16,794 | 3,742 |
1980 | 37,449 | 8,367 | 15,598 | 21,441 | 4,542 |
『고려도경(高麗圖經)』(서긍)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한재렴)
호구총수(戶口總數) (1769)
『한국호구표(韓國戶口表)』(대한제국경무고문본부,1907)
『한국지방행정사』(내무부,1963)
『한국문화사대계』 Ⅰ-민족국가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1964)
『고려정치제도사연구』(변태섭,일조각,1971)
『신도시개발론』(노융희,박영사,1973)
『한국상고사의 쟁점』(천관우 편,일조각,1976)
『고려지방제도의 연구』(하현강,한국연구원,1977)
『조선시대도시사회연구』(손정목,일지사,1977)
『산업사회와 도시』(전국경제인연합회,1977)
『지방행정구역발전사』(내무부,1979)
『한국도시개발론』(최상철 외,일지사,1981)
『한국개항기도시변화과정연구』(손정목,일지사,1982)
『한국개항기도시사회경제사연구』(손정목,일지사,1982)
『한국지지』-지방편 Ⅰ·Ⅲ-(건설부국립지리원,1984·1985)
『한국도시연감』(내무부,1985)
『현대도시론』(강대기,민음사,1987)
「인구이동과 도시화」(유의영,『한국사회』 Ⅰ,서울대학교,1978)
「도시생활」(한상복,『한국사회』 Ⅲ,서울대학교,1978)
「도시화와 인구」(권태환,『한국사회론』,민음사,1980)
「지리학의 당면과제-도시환경을 중심으로-」(홍시환,『지리학』 31,1985)
『한국현대도시의 발자취』(손정목,일지사 1988)
『일제강점기도시계화연구』(손정목,일지사 1990)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 상·하(손정목,일지사 1992)
『일제강점기도시화과정연구』(손정목,일지사 1996)
『일제강점기도시사회상연구』(손정목,일지사 1996)
『한국도시론』(한국도시연구소,박영사 1998)
『전국통계연감』(한국도시행정연구소,1995∼1999)
『환경백서』(환경부,1995∼1999)
『범죄백서』(법무연수원,1995∼1999)
『서울시통계연보』(서울특별시,1995∼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