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 ()

불교
개념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붓다가 깨우친 진리를 은밀하게 전하는 비밀 불교의 줄임말.
이칭
이칭
진언문(眞言門), 진언승(眞言乘), 금강승(金剛乘), 구생승(俱生乘), 지명승(持明乘), 시륜승(時輪乘), 비밀 불교
내용 요약

밀교는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붓다가 깨우친 진리를 은밀하게 전하는 비밀 불교의 줄임말이다. 현교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좁게는 7세기 중반 이후 대일경, 금강정경의 성립과 함께 체계화된 사상 또는 그를 기반으로 성립된 종파를 지칭한다. 넓게는 대승불교가 내포하고 있는 신비적, 주술적인 요소를 가리킨다.

정의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붓다가 깨우친 진리를 은밀하게 전하는 비밀 불교의 줄임말.
개설

밀교는 비밀 불교(秘密佛敎)의 줄임말로 주10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현교는 석가모니의 설법이나 경전을 통해 드러나 있는 가르침이라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밀교는 언어나 문자에 의해서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밀교를 가리키는 다른 말로 진언문(眞言門), 진언승(眞言乘), 금강승(金剛乘, 주11이 있으며, 후기 밀교 시대에는 구생승(俱生乘), 지명승(持明乘), 시륜승(時輪乘) 등도 밀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됐다.

그러나 밀교를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는 쉽지 않다. 다양한 지역에서 그만큼 다채로운 종교성과 문화를 수용하면서 유포됐기 때문이다. 외형적으로는 범신적인 불타관(佛陀觀) 하에서 이들 제존(諸尊)의 진언, 다라니와 의례 절차, 만다라 등의 종교적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성격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그것을 통한 종교 체험을 통해 궁극적인 종교적 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하여 새로운 실천적 · 신앙적 불교로서 확장됐다.

밀교는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교학적으로 체계화된 것은 7세기이다. 대승불교의 주20 사상 · 주1 · 주2 사상 및 인도 전통 종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그러나 그 이전 대승불교에서도 밀교 성립의 요인은 충분히 포함되어 있었다.

밀교가 성립될 당시의 인도 불교는 부파 주21 시대(소승 불교 시대)로서 실천보다는 전문적 이론과 승려 중심의 경향이 매우 짙었다. 이러한 불교계의 흐름은 교학(敎學)의 찬란한 발전을 가져오는 장점도 있었지만, 많은 신도를 잃게 되고 교단의 위축을 스스로 가져오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실천을 위주로 한 대중 불교 운동이 밀교이다. 당시까지 발전되었던 불교 사상의 두 주류인 주22 사상(空思想)과 유가 유식 학파(瑜伽唯識學派)의 유 사상(有思想)을 동시에 계승 · 발전시키면서, 주23주24민간신앙까지 폭넓게 받아들여, 그것을 다시 불교적으로 정립한 것이 밀교의 사상적 바탕이 되었다.

밀교 사상의 이론적 원리[敎相]를 체계적으로 밝힌 주25과 실천법의 체계를 세운 주26은 밀교의 근본 경전이다. 이에 의하면 밀교는 법신불(法身佛)대일여래(大日如來)를 중심으로 한 태장계(胎藏界)주27의 수행법을 닦아 익히면 이 육신 자체가 바로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주28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밀교의 수행자는 누구나 입으로 진언(眞言)을 염송하고 손으로 주29을 하며 마음으로 대일여래를 생각하는, 신구의(身口意)의 삼밀가지(三密加持)를 행하여 중생주30과 부처님의 삼밀이 서로 감응 일치 하여 현생에서 성불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이 근본 경전을 중심으로 조직된 밀교가 성립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대일경』과 『금강정경』이 성립되기 이전에 진언과 다라니를 비롯한 밀교 소재들이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밀교 사상을 초기 밀교라고 하고, 그 이후의 것을 중기 밀교라고 하여 구별한다. 이후 후기 밀교가 발달한다. 후기 밀교에서는 8세기경 성립한 탄트라의 대락 사상(大樂思想)의 교학을 바탕으로 의학과 생리적 지식을 수행 절차에 반영한 생기차제(生起次第)와 구경차제(究竟次第)를 실천한다. 이러한 인도 밀교의 두 형태 가운데서 중국에 먼저 전래된 것은 초기 밀교 계통으로 동아시아에는 초기 밀교와 중기 밀교가 큰 영향을 미쳤다.

322년(동진의 원제(元帝) 5) 최초로 전래된 뒤, 초기 밀교 계통 경전인 『대공작왕신주경(大孔雀王神呪經)』 · 『관정경(灌頂經)』 등이 번역되면서 차차 전파되었다. 725년 주31가 『대일경』을 번역하고, 753년 불공(不空)이 『금강정경』을 번역하여 밀교의 정통 사상인 중기 밀교가 중국에 전래되었다. 그 뒤 밀교는 송나라 때까지 크게 발전하여 깊은 신앙의 의지처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초기 밀교를 삼국시대부터 불교 수용과 함께 받아들였다.

백제고구려의 밀교에 대해서는 그 자료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신라에서는 7세기 초부터 초기 밀교 계통이 전래되었고, 8세기에 접어들면서 중기 밀교 계통이 전해지면서 본격적인 발전을 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밀교는 고려, 조선시대까지 불교 신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밀교는 이론이나 교학적인 발전보다는 실천적 수행 면에 치중되었으며, 독자적인 발전보다는 선(禪)이나 정토 신앙 또는 천태종(天台宗) 등과 밀접한 관계성 속에서의 발전을 보았다. 특히, 고려 이후부터는 여러 가지 의식이나 진언 염송을 통한 밀교 신앙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의 밀교는 신라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출세간적(出世間的)인 성취를 위한 목적보다는 세간적 성취를 위하여, 전쟁 방지 및 병의 치료와 같은 목적이 주류를 이루었다.

신라

밀교 승려들의 활약과 전래 교법

신라에 최초로 밀교를 전한 승려는 안홍(安弘)이다. 그는 600년(진평왕 22) 혜숙(惠宿)과 함께 중국으로 가서 서역승(西域僧) 세 사람, 중국 승려 두 사람을 데리고 귀국하여 황룡사(皇龍寺)에서 『전단향화성광묘녀경(栴檀香火星光妙女經)』을 번역하고, 640년(선덕여왕 9) 만선 도량(萬善道場)을 회향하였다.

안홍과 거의 같은 시기의 밀교승으로는 명랑(明朗)이 있다. 명랑은 632년 당나라로 가서 3년 동안 유학한 후 귀국했다. 통일 전쟁기 명랑은 낭산(狼山) 남쪽 신유림(神遊林)에 임시로 절을 짓고 『관정경』에 의거하여 풀로 오방신상(五方神像)을 만들어서 비법에 밝은 12명의 승려와 함께 문두루비밀법을 설행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이러한 명랑의 비법은 그 수용 초기부터 호국 이념과 연결되면서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고, 그 법맥은 안혜(安惠) · 낭융(狼融) · 광학(廣學) · 대연(大緣) 등으로 계승되어 고려시대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문두루법(文豆婁法, Mudra)은 『관정경』 제7권에 의한 것이다. 이 경은 주로 제석천(帝釋天)사천왕(四天王)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과 그 나라가 어려울 때 신인비법으로써 구제될 수 있는 방법과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부처님의 제자들 중 사악한 귀신 때문에 공포에 떠는 사람이 있거나, 병에 걸려 생명의 위협을 받거나, 다른 나라가 침략을 할 때는 마땅히 오방신상을 만들어 문두루법을 행하면 모든 재난을 극복하여 물리칠 수 있다고 하였다. 개인과 국가적 재난이 문두루법을 행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 근거는 이들 오방의 신장이 각각 7만의 부하 신을 거느리고 문두루법을 행하는 목적에 부응하여 보호해 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인비법은 『관정경』에서 사상적 · 의례적인 연원을 찾을 수 있지만, 신라의 신인비법은 『관정경』 사상을 주축으로 하면서, 그 위에 『관불삼매해경(觀佛三昧海經)』과 『금광명경(金光明經)』의 사상까지도 폭넓게 수용하였다. 따라서 신라 신인비법의 사상은 독자성을 가지고 발전하면서도 이나 사천왕, 제석천 등의 사상을 무리 없이 포섭하게 되었고, 그러한 현상은 소재 활동(消災活動)과 짝하여 신라 밀교가 무속신앙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밀본(密本)혜통(惠通)신주를 통한 질병 치료와 재앙에서의 구원 활동을 했다. 밀본은 주32 독송을 통해 무당이나 다른 불교 승려가 치료하지 못한 선덕여왕의 병을 치료하거나 승상 김양도(金良圖)의 병을 낫게 했다. 혜통은 진언을 외워 신문왕의 등창을 낫게 했다.

명랑의 신인비법을 중심으로 한 밀교 의식은 고려시대에 가서 신인종(神印宗)이 성립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고, 치병과 치유의 특징은 고려시대에 와서 총지종(摠持宗)으로 성립되었다. 그러므로 명랑을 신인종의 주33로, 혜통을 총지종의 초조로 삼고 있다. 이밖에도 의림은 805년(애장왕 6) 103세의 나이로 밀교의 전교에 힘을 기울였는데, 그는 주로 순밀 계통의 태장계법과 금강계법을 위주로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이 시기 현초(玄超) · 혜일(惠日)과 같은 밀교 승려들의 활약으로 신라 밀교는 많은 발전을 보게 되었다. 그 결과 신라의 밀교 사상도 신인비법(神印祕法) · 주3 · 오대산 신앙(五臺山信仰) · 소재 활동(消災活動) 등을 통하여 활발히 전개되었다.

오대산 신앙(五臺山信仰)

오대산을 중심으로 한 불교 신앙 운동은 선덕여왕 때 자장(慈藏)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그것은 당나라의 오대산 신앙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자장 당시는 오대산 신앙이 크게 발전하였거나 체계화되지는 못하였다. 신라에서 오대산을 중심으로 한 신앙이 본격화된 것은 8세기 초 정신대왕(淨神大王)과 그의 태자보천(寶川)효명(孝明)에 의해서였다. 이들 세 부자가 오대산 신앙을 전개한 사실은 『삼국유사』 대산오만진신조(臺山五萬眞身條)와 명주오대산보질도태자전기(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에 전해지고 있다. 이에 의하면 보천과 효명은 오대산에 들어가 수양을 하였다.

하루는 산의 다섯 봉우리를 보려고 산에 올랐더니 동쪽 봉우리에서는 1만의 관음보살이, 남쪽 봉우리에서는 1만의 지장보살이, 서쪽 봉우리에서는 아미타불주34로 1만의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북쪽 봉우리에서는 석가모니불을 수위로 500의 아라한(阿羅漢)이, 중앙에서는 주35를 수위로 1만의 문수보살이 각각 나타났으므로 예배를 올렸다. 그 뒤, 보천 태자만이 오대산에 계속 남아 『수구즉득다라니경(隨求卽得陀羅尼經)』을 매일 염송하면서 50년을 수양하였다. 이러한 보천이 말년 나라를 지키고 이익하게 할 비법을 남겼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동쪽 봉우리에는 관음방(觀音房)을 두어 주36과 푸른 바탕에 1만의 관음상을 그려 모시고, 다섯 명의 주37을 두어 낮에는 『금광명경』과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주38를 외우게 하며, 밤에는 관음예참(觀音禮懺)을 염송하게 하고, 원통사(圓通社)라고 이름하게 하였다.

남쪽 봉우리에는 지장방(地藏房)을 두고, 지장보살상과 붉은 바탕에 팔대 주39을 수위로 1만의 지장보살상을 그려 모시고, 다섯 명의 복전을 두어 낮에는 『지장경』주40을 읽게 하고 밤에는 점찰예참(占察禮懺)을 행하게 하고, 금강사(金剛社)라고 이름하게 하였다.

서대(西臺)에는 미타방(彌陀房)을 두어, 무량수불상(無量壽佛像)과 흰 바탕에 주41을 수위로 1만의 대세지보살을 그려 모시고, 다섯 명의 복전을 두어 낮에는 주42을 읽고 밤에는 미타예참(彌陀禮懺)을 행하게 하고, 수정사(水精社)라고 이름하게 하였다.

북대(北臺)에는 나한당(羅漢堂)을 두어 석가상을 모시고, 검은 바탕에 500 나한상을 그려 모시고, 다섯 명의 복전을 두어 낮에는 『불보은경(佛報恩經)』과 주43을 읽고, 밤에는 열반예참(涅槃禮懺)을 행하게 하고, 백련사(白蓮社)라 이름하게 하였다.

중앙은 진여원(眞如院)으로 문수상을 진흙으로 만들어 모시고 그 뒷벽에는 황색 바탕에 비로자나를 수위로 하여 36 화형을 그려 모시고, 다섯 명의 복전을 두어 낮에는 『화엄경』과 600권의 『반야경』을 읽게 하고 밤에는 문수예참(文殊禮懺)을 행하게 하여, 화엄사(華嚴社)라 이름하게 하였다.

이러한 오대산이라는 지역을 상징하여 오색 · 오방 · 주14로 체계화한 구조와 사상의 내용은 밀교의 본지 주44과 만다라(曼茶羅)에 근원을 두고 있다. 신라의 오대산 신앙은 자장에 의하여 당나라 신앙 형태에 영향을 입어 시작된 것이다.

중국의 오대산 신앙이 시작된 교리적 근거는 60권의 『화엄경』의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 제27과 『문수사리법보장다라니경(文殊舍利法寶藏陀羅尼經)』의 교설에서부터 출발되었다. 그러므로 신라 오대산 신앙의 중앙에는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중국이나 신라의 오대산 신앙이 그 출발부터가 현교(顯敎)와 밀교의 융합에 있었음을 말해 주고 있다.

8세기 초 중국에서는 선무외 · 금강지 등이 중심이 되어 천수관음조상법(千手觀音造像法) · 지장화상법 등을 정립하여 밀교적인 관음과 지장 신앙을 전개하였고, 또한 불공(不空)은 함광(含光)과 더불어 오대산을 중심으로 한 밀교적 문수 신앙을 전국적으로 확대시켜 나갔다. 이러한 시기에 신라에서는 명효와 의림 등의 밀교승들이 있어서 당나라의 그러한 교법을 곧바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때이다.

보천이 신라 오대산 신앙을 체계화한 것도 8세기 중엽이었다. 그는 철저한 밀교의 진언승(眞言僧)이어서 수구다라니를 매일 염송하였고, 토속신(土俗神)이 와서 보천에게 수계까지 받았다. 이러한 사실은 물론 민속신앙이 밀교에 포섭되는 한 실례이기도 하지만, 보천은 문수보살로부터 관수까지 받을 정도로 밀교 신앙에 철저하였다.

따라서, 보천에 의해서 체계화된 신라 오대산 신앙이 밀교적으로 전개된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주5이나 천수천비(千手千臂)의 관음은 밀교적 요소들이 포함된 것이다. 이러한 관음을 염송하는 천수주가 『인왕경』과 함께 관음방에서 독송된 것이나, 오방에 오불을 배치하고 다섯 가지 색을 배대하여 오원(員)의 복전을 둔 것은 모두가 순연한 밀교적 수행법의 하나요, 신라 특유의 만다라적 체계인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오방불(五方佛)의 배치법은 현교나 밀교의 전통적 만다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신라 특유의 것이다. 따라서 오대산을 중심으로 전개된 신앙 운동은 신라 밀교만이 발전시킬 수 있었던 새로운 만다라라고 할 수 있다.

사리탑 신앙(舍利塔信仰)

신라시대 주45에 대한 신앙이 처음으로 밀교 사상과 만나게 되는 것은 706년(성덕왕 5)이다. 이해 신문왕과 효소왕의 명복을 빌고 나라의 안녕을 기원할 목적으로 경주 황복사(皇福寺)에 삼층석탑을 세웠는데, 탑의 이층에다 부처의 사리와 함께 『무구정광다라니경』을 봉안하였다.

『무구정광다라니경』은 작은 탑 99개 또는 77개를 조성할 것과 이 다라니의 공덕을 교설한 잡밀 계통의 경이다. 이 경은 중국에서 695∼704년 사이에 미타산(彌陀山)이 번역하였고, 이 시기에 당나라에서 총지법(摠持法)을 공부하고 귀국한 명효가 『불공견색다라니경』과 함께 신라로 가지고 왔다. 그 뒤부터 신라에서는 『무구정광다라니경』을 조탑경(造塔經)으로 널리 받들어서 중요한 탑 속에는 반드시 이 경이 봉안되었다. 751년(경덕왕 10) 불국사의 석가탑을 보수하면서 이 경을 넣었고, 855년(문성왕 17) 경주 창림사(昌林寺) 삼층 석탑에도 이 경이 봉안되었다.

828년(흥덕왕 3)에 세워진 경상북도 영일군 법광사(法光寺)의 삼층 석탑에서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陀羅尼)가 새겨진 주46이 봉안되었는데, 이는 신라 사리탑 신앙이 다른 밀교 경전과도 연결을 맺은 좋은 예이며, 9세기로 접어들면서 그러한 현상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863년(경문왕 3)에 건립된 동화사 비로암(毘盧庵)석탑에는 사리장치와 함께 금동사방불함(金銅四方佛函)이 봉안되었는데, 이것은 태장계와 금강계, 잡밀과 순밀, 현교와 밀교가 융합된 삼종실지(三種悉地)의 만다라 사상을 사리탑 신앙으로 응용, 발전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비로암의 석탑을 계기로 신라 사리탑 신앙은 점차 풍부한 밀교적 사상을 띠게 되었다. 그리하여 동화사 금당암(金堂庵) 삼층 석탑과 봉화군 서동리 동쪽의 삼층 석탑, 봉화군 취서사(鷲棲寺)의 석탑 등은 모두가 『무구정광다라니경』과 삼종실지의 만다라 사상에 근거하여 건립하였다. 특히, 취서사 석탑의 경우 무구정광단(無垢淨光壇)을 건립하고 밀교적 의식까지 거행하였으며, 871년에 중수한 황룡사 구층 탑에는 99기의 작은 탑과 함께 사리 · 다라니경 등을 봉안하였다.

또한, 895년(진성여왕 9) 백성산사(百城山寺)에서는 길상탑(吉祥塔)을 세우면서, 『법화경』 · 『금강반야경』 · 『금광명경』 · 『진언집(眞言集)』 · 『무구정광다라니경』과 함께 77기, 99기의 작은 탑도 봉안하였다. 이때 특히 77기, 99기의 작은 탑을 봉안하면서 그 각각의 탑 속에 진언을 또 봉안하였다. 이러한 백성산사의 길상탑을 통하여 신라의 현교와 밀교는 자연스럽게 융합됨은 물론, 그 사상면에 있어서도 더욱 깊고 넓은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한편 신라 승려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밀교를 배운 이들의 이름이 다수 확인된다. 그 중 불가사의는 대일경 권7에 대한 주석서인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를 찬술하였으며, 혜초『왕오천축국전』뿐만 아니라 『만수실리대교왕경』 한역에 참여하고 그에 대한 서문을 작성하였으며 불공의 대표적인 제자로 꼽혔다. 이들뿐 아니라 다수의 신라 승려들이 밀교의 법을 계승하며 활약하였다.

고려

왕실의 밀교 신앙과 보호 정책

고려는 나라를 세울 당시부터 밀교에 대한 신앙과 관심이 매우 깊었다. 밀교를 포함한 불교 사상을 고려에서는 건국 이념으로 하였고, 밀교적 수행 의식을 주6의 한 법용(法用)으로 수용하였다. 그러므로 고려에서의 밀교는 왕실을 중심으로 그 초기적 신앙의 전통이 확립되었고, 역대 왕들은 그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밀교 신앙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다.

후삼국을 통일하여 고려를 건국한 태조는 철저한 호불왕(護佛王)으로서, 특히 밀교 신앙과 밀교 계통의 승려들로부터 정신적 · 현실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밀교 신앙의 전개와 보호에도 대단한 힘을 기울였다. 태조의 불교에 대한 신앙의 경향은 「훈요십조(訓要十條)」에 잘 나타나 있는데, 그 제2조와 제6조에서 유일하게 도선(道詵)을 거론하였고, 연등회(燃燈會)팔관회(八關會)를 매우 중요시하였다.

이처럼 태조가 팔관회 · 연등회와 도선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특별히 후대 왕들에게까지 유촉함으로서 원래의 연등회와 팔관회는 고려에 이르러 밀교성이 짙게 가미된 불교 의식으로 탈바꿈되었다. 도선의 사상에 대해서도 주47이나 주48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실제로 도선의 사상적 연원과 근저는 밀교에 있었다. 따라서, 태조가 훈요 중에서 도선을 내세우고 연등회와 팔관회를 중요시하였던 것은 그의 밀교에 대한 신앙심이 돈독하였던 것이 큰 이유 중의 하나였다. 그리하여 태조는 즉위한 이듬해 개경에다 10개의 사찰을 세우면서 그 수사찰(首寺刹)인 법왕사(法王寺)의 주불로 비로자나불을 모셨다.

또 태조가 개인적으로 신앙이나 나라를 세움에 있어서 밀교적 감화력을 크게 입은 고승으로서는 광학대연이 있다. 광학과 대연은 신라 명랑의 법을 이어받은 밀교의 대덕들로서, 문두루법으로 태조의 건국을 도왔다. 태조는 광학 · 대연과의 이러한 인연을 계기로 하여 936년(태조 19) 현성사(現聖寺)를 창건하여 신인종의 근본 도량이 되게 하였다. 그리고 938년에는 인도의 승려인 홍범실리박일라(弘梵室哩縛日羅)가 『갈마단경(羯磨壇經)』을 가지고 왔을 때 왕이 양가(兩街)로 하여금 위의를 갖추고 맞이하게 한 것도 밀교에 대한 깊은 신앙심에서 연유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고려에서의 밀교는 위정자들의 돈독한 신앙심과 보호 정책에 힘입어 초기부터 굳건한 전통의 기반이 확립되어 뒷날 역대 왕들에게 계승되어 발전적인 밀교 신앙의 전통을 세우게 되었다.

목종은 1007년(목종 10) 총지사(摠持寺)의 주지 홍철(弘哲)로 하여금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一切如來心祕密全身舍利寶篋印陀羅尼經)』을 총지사에서 개판하여 널리 보급하게 하였다. 목종이 이 경을 개판한 것은 “만약 이 경을 개판하여 탑 속에 봉안하게 되면 모든 재난이 소멸하게 된다”는 사상에 근거하여, 나라의 태평과 국민의 안녕을 도모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또한 모든 국력을 기울여 이루어진 초조(初彫)와 재조 고려 주49에도 밀교의 경전들이 많이 들어 있었다.

현종 때 착수하여 문종 때 완성된 첫 번째 대장경은 몽고병란 때 불타 버렸으므로 그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지만, 현재 주50의 것으로 확인된 몇 권의 남은 책 속에는 『무량문파마다라니경(無量門破魔陀羅尼經)』 · 『성지세다라니경(聖持世陀羅尼經)』 등 24권의 밀교 경전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초조대장경에도 밀교에 관한 전적들이 많이 들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기(守其)가 찬술한 고려 주15의 『대장목록(大藏目錄)』에 의하면, 『대비로자나경』 7권, 『금강정경』 3권 등 순밀교에만 해당되는 경전이 191종 356권이 들어 있고, 『금강정유가호마의(金剛頂瑜伽護摩儀)』 1권, 『불정존승다라니염송의궤(佛頂尊勝陀羅尼念誦儀軌)』 1권 등을 비롯한 밀교 의식의 작법(作法)에 관한 것도 20종 21권이나 들어 있다.

그리고 충렬왕은 1275년(충렬왕 1) 왕실의 발원으로 『불공견색신변진언경』 30권을 주51로 각판하여 현재 그 제13권이 가장 오래된 은자경(銀字經)으로 남아 있다. 1328년(충숙왕 15) 5월 충숙왕은 밀교대장경(密敎大藏經) 130권을 금서(金書)로 간행하여 세상에 펴내기도 하였다.

충숙왕은 호불왕으로서 특히 밀교에 대한 신앙이 매우 철저했던 왕이다. 그러므로 그는 앞서 이루어진 밀교대장경 90권과 아직 정리되지 못한 40권을 다시 구하여 130권이나 되는 밀교대장경을 금서(金書)로 펴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고려 왕실이 국력을 기울여 밀교 신앙의 기초가 되는 전적들을 수집, 정리, 간행한 것은 모두가 밀교에 대한 깊은 관심과 돈독한 신앙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고려 역대 왕실과 위정자들의 밀교에 대한 신앙의 실천적 모습은 여러 종류의 도량과 의식을 통하여 잘 나타나 있다.

고려시대는 80여 종류의 법회(法會) · 주52 · 도량 등의 불교 의식이 거행되었는데, 이들 중 문두루도량 · 인왕도량 · 공작명왕도량(孔雀明王道場) · 무능승도량(無能勝道場) · 금광명도량(金光明道場) · 소재도량(消災道場) · 대일왕도량(大日王道場) · 공덕천도량(功德天道場) · 관정도량(灌頂道場) · 만다라도량(曼茶羅道場) · 제석천도량(帝釋天道場) · 진언법석(眞言法席) 등과 같이 순수한 밀교 의식이 매우 많았다.

또한 전적 자체는 밀교의 것이 아니지만 장경도량(藏經道場) · 능엄도량(楞嚴道場) 등과 같이 밀교성이 매우 강한 의식들도 아주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행사와 의식들이 역대 왕실을 중심으로 매년 매월 거행되지 않은 때가 거의 없었다. 특히, 밀교에 대한 신앙이 더욱 극진하였던 후대의 왕들 중 그 즉위식까지도 밀교 의식의 전통적 방법에 따라 거행한 경우도 있었다. 강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은 모두가 관정 의식(灌頂儀式)에 따라 왕위에 올랐던 왕들이다.

이 관정 의식은 밀교의 독특한 것으로서, 원래 인도에서 국왕이 즉위할 때 주53에 네 바닷물을 넣어 그것을 왕의 정수리에다 뿌리는 의식에서 채용 · 표방된 것이다. 밀교에서는 보병에 오지법수(五智法水)를 넣어 스승인 아사리(阿闍梨)가 제자의 머리에 그것을 뿌려 줌으로써 오랜 옛날부터 지어 온 무명(無明)의 때를 씻고 자기의 성품[自性淸淨心]을 깨달아 진리의 왕이 되게 하는 의식이다. 따라서 고려 후기의 왕들이 관정법에 따라 왕위에 오름으로써 그들은 세속적인 왕의 지위를 넘어 출세간적인 진리의 왕이 되고자 하였던 강렬한 신앙과 염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총지종(摠持宗)과 신인종(神印宗)

우리나라의 밀교 사상이나 그 신앙의 형태로는 크게 두 가지의 종류가 있었다. 명랑을 효시로 한 신인(神印)의 작법 계통(作法系統)과, 혜통으로부터 시작된 진언지송(眞言持誦)의 총지법이 그것인데 이들이 하나의 종파로 각각 성립된 것은 고려시대의 일이다.

원래 총지라는 말은 다라니를 뜻으로 번역한 데서 유래한다. 우리나라에 총지법이 최초로 전래 · 수용된 것은 신라 혜통이 처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총지종의 성립을 신라시대로 보고, 그 주54를 혜통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총지종이 성립되었다는 결정적 기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가 행한 백두항룡(白豆降龍)이나 병 고치는 법[愈疾法]이 순밀의 총지법보다는 잡밀적 성격이 매우 짙다. 따라서 혜통은 우리나라에 총지법의 최초 전래자로 총지종의 원조(遠祖)는 될지언정, 그 개종조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신라시대의 총지암(摠持嵒)은 신문왕과 효소왕 때에 창건된 절인데, 고려에 와서 총지사가 되었다. 이 절에서는 1007년 『보협인다라니경』이 개판되었고, 1186년(명종 16) 불정소재도량(佛頂消災道場)의 밀교 의식이 거행되었다. 또한 1275년 왕실의 발원으로 『불공견색신변진언(不空羂索神變眞言經)』 30권을 은자로 찍어낸 것은 모두가 고려 왕실이 다라니의 수행을 존중하였던 좋은 예들이다.

또 1157년(의종 11) 총지사의 주지가 된 회정(懷正)주금사(呪噤師)로서 왕의 절대적인 총애를 받았다. 그리하여 당시에 승직(僧職)과 상(賞)을 구하려는 모든 승려들은 그를 통하지 않을 수 없는 높은 권좌에 있었다. 『고려사』에 의하면, 그가 의종의 총애를 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그가 유일한 주금사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주금사라는 말은 경전에서 주력승(呪力僧)을 대력주사(大力呪師)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이지만 이러한 대력주사가 의업(醫業)에 종사하면 이를 고려에서는 주금사라고 하였다.

고려에서는 이외에도 충숙왕 때의 복산(福山), 충혜왕 때의 학선(翯仙) · 천기(天其) 등을 비롯하여, 문종전의시(典醫侍)에 종사한 종9품의 주금박사(呪噤博士) · 주금사 · 주금공(呪噤工) 등 많은 밀교 계통의 주사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136년(인종 14) 고시의 방법도 의업식과 주금식으로 나누어 실시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주금업에 종사한 총지주사는 물론, 밀교 승려들의 사회적 지위도 교단 안팎에서 점점 확고한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조류에 짝하여 13세기경 조유(祖猷) · 혜영(慧永)과 같은 주16가 배출되었으며, 이때부터 강종을 시작으로 하여 모든 왕의 즉위식 때는 반드시 관정 의식을 행하게 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고종주55이 대일왕(大日王)의 상주처라는 백승현(白勝賢)의 말에 따라 이곳에다 혈구사를 지었으며, 꿈에 늙은 비구로부터 『대일경』을 권념(勸念)하라는 지시를 받을 정도로 총지법에 대한 신앙이 철저하였던 왕이다. 이와 같은 상황과 여건으로 총지종은 고려 의종에서 고종 21년(1234) 사이에 개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신인종의 신인이란 ‘문두루’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결인(結印)을 가리키는 것인데, 그것은 신라 문무왕 때의 명랑이 이 법으로써 당나라 병사를 물리친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이 된다. 그러므로 총지종과 마찬가지로, 신라시대에 신인종이 성립되었고 그 개종조 역시 명랑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신라시대는 아직 어떠한 종파도 성립된 일이 없다.

이뿐만 아니라, 이 기사를 전하고 있는 『삼국유사』의 내용을 보면, “고려 태조가 나라를 세울 당시 해적이 침략해 오자 신인조사(神印祖師) 명랑의 후예인 광학과 대연 두 대덕을 청하여 이를 물리쳤다. 그리하여 태조는 태조 19년(936) 현성사를 세워 신인종의 근저가 되게 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신인종은 936년 그 중심 사찰인 현성사가 창건되는 것을 계기로 하여 개종되었다고 하겠다. 이 종파는 국난 타개라는 신라적 전통을 유지, 계승하면서 그 신앙은 고려 일대를 통하여 계속 발전하였다.

1047년(문종 1) 7월 동경(東京)의 사천왕사에서 적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27일 동안 개설한 문두루도량을 위시하여, 1101년(숙종 6) 4월과 1108년(예종 3) 7월 진정사(鎭靜寺)에서, 예종 4년 4월 흥복사(興福寺) · 영명사(永明寺) · 장경사(長慶寺) · 금강사(金剛寺)에서, 고종 4년(1217) 4월과 12월 현성사에서 각각 문두루도량을 개설한 사실이 『고려사』에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의 신인종과 그에 대한 신앙이 계속 유지 · 발전되어 왔음을 입증하는 좋은 자료가 되거니와, 역대의 많은 왕들이 신인종의 근본 도량인 현성사를 많이 찾았음도 이러한 사실과 결코 무관한 것은 아니었다.

1130년(인종 8) 4월 나라의 대신들이 경비를 모아 현성사와 영통사(靈通寺)에서 의식을 베풀고 나라를 위하여 복을 빌었다. 이 뒤를 이어 명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숙왕 · 공민왕 등이 현성사를 찾아 의식을 거행하였던 것은 모두가 문두루도량과 간접 · 직접으로 많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처럼 고려에서는 왕실을 중심으로 신인비법에 깊은 신앙과 많은 관심이 있었고, 그것을 국난 타개의 최고 비법으로 믿고 있었다.

밀교 의식과 행사

고려시대에 행하여진 밀교의 행사로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왕도량은 제일 많이 행하여졌으며 깊은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인왕도량은 백고좌도량(百高座道場) · 주56 등 여러 가지로 불리우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모두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의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점에서는 같은 것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인왕경』에는 주57이 번역한 구역본과 불공이 번역한 신역본이 있는데, 고려에서 주로 사용한 것은 불공이 번역한 신역본이다. 이 『인왕경』을 고려에서는 나라를 보호하고 국민을 편안하게 하는 최승의 법으로 신앙하였다. 특히 『인왕경』 제5 호국품(護國品)의 교설을 근거로 하여 역대 왕들은 많은 인왕도량을 개설하여 나라와 국민의 안녕을 부처님께 빌었다.

『고려사』 세가편(世家篇)만 보아도 1012년(현종 3) 5월 내전에서 『인왕경』을 강설한 것을 비롯하여 1373년(공민왕 22) 4월까지 무려 122회나 인왕경 의식이 거행되었는데 그 대부분이 인왕도량이었다. 특히 1020년(현종 11) 5월의 기사에서 “내정(內庭)에 100개의 주58를 마련하고 3일 동안 인왕경을 강설하였으며, 그것을 매년 상례로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음을 볼 때, 고려 인왕경 의식의 시행 횟수는 122회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많은 『인왕경』 의식이 국가적 행사로 개설되었던 것은 인왕경을 “세상을 구제하는 좋은 약이며, 나라를 지키는 최고의 법[求世之良藥 護國之勝門]”으로 믿고, 그러한 신앙을 바탕으로 인왕도량을 개설함으로써 국가 사회의 여러 가지 환란을 극복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왕경 신앙이 왕실을 중심으로 한 궁중이나 사원에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장안에서는 경행(經行)이라 하여 국민들의 이익과 복을 기원하는 행사로 『인왕경』을 받들어 모시고 보행독송(步行讀誦) 하는 의식이 1046년(정종 12)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행해졌다. 이 경행은 고려 인왕경 신앙의 특유한 모습으로서, 그것이 일반 농민들과 같은 서민층에서는 행독(行讀)이라는 의식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즉, 시골의 농민들은 천재지변이나 기타 우환이 있으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인왕경』을 받들어 모시고 거리를 행진하면서 이 경을 독송하여 모든 재난이 물러가고 복이 오기를 기원하였다.

이와 같은 행독이나 경행 의식은 모두 인왕도량과 그 사상적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처럼 고려에서는 승려와 속인은 물론, 왕실과 촌민(村民)에 이르기까지 『인왕경』에 대한 신앙이 가장 열렬하였다. 더욱이, 그러한 신앙이 불공의 번역본을 근본으로 하였으며, 밀교적 의식법에 따라 전개되었던 점에서 인왕도량을 통하여 고려 밀교의 발전적 모습의 일단을 찾아볼 수가 있다.

고려에서 인왕도량 다음으로 널리 행해졌던 밀교 의식은 금광명도량이다. 금광명도량이 주로 나라 안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널리 행했던 의식이라고 한다면, 인왕도량은 주로 군사적인 목적에서 나라 밖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띠고 개설된 금광명도량은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을 근본으로 삼아 개설한 도량으로, 고려에서는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 · 금광경도량(金光經道場) · 금경도량(金經道場) 등으로 불렸다.

그리하여 1041년(정종 7) 5월부터 1389년(공양왕 즉위년) 9월까지 금광경의 도량 의식이 모두 37회나 개설되었다. 『금광명경』의 사상에서 유래된 밀교 의식으로는 금광명도량 외에도 공덕천도량과 사천왕도량(四天王道場)이 있다. 공덕천도량은 『금광명경』 권6 공덕천품(功德天品) 제13에 사상적 근거를 둔 것으로, 인간 사회에 복과 재물을 키워 준다는 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고려에서는 이러한 도량들이 많이 개설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고려에서는 밀교 도량으로 소재도량이 있었다. 물론, 고려시대에 행하여진 80여 종류의 의식들이 모두가 소재(消災)의 뜻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좁은 의미에서의 소재도량은 『불설치성광대위덕소재길상다라니경(佛說熾盛光大威德消災吉祥陀羅尼經)』과 『불설대위덕금륜불정치성광여래소제일체재난다라니경(佛說大威德金輪佛頂熾盛光如來消除一切災難陀羅尼經)』에 의거하고 있다.

이밖에도 밀교 관계 도량으로는 1110년 4월 공작명왕도량, 1264년(원종 5) 6월 대일왕도량, 1367년 6월 진언법석 등이 개설됨으로써 고려에서의 밀교 신앙의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하였다.

조선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그 후대 왕들은 정책적 이념으로 숭유배불 정책(崇儒排佛政策)을 표방하여, 불교를 탄압하고 종단을 통폐합하였다.

그리하여 고려시대의 신인종과 총지종도 1407년(태종 7) 11종을 7종으로 폐합하면서 총지종과 남산종(南山宗)을 합하여 총남종(摠南宗)이 되게 하고, 중도종(中道宗)과 신인종을 합하여 중신종(中神宗)이 되게 하였다. 또 1424년(세종 6) 태종 이후 7종이던 것을 다시 선교양종으로 폐합하게 되면서, 총남종은 조계종(曹溪宗) · 천태종(天台宗)과 함께 선종(禪宗)으로 되고, 중신종은 화엄종(華嚴宗) · 자은종(慈恩宗)과 함께 교종(敎宗)으로 폐합되었다.

그리하여 밀교의 신인 · 총지의 양종은 그 명맥마저 없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태종은 1401년 궁중의 송주승(誦呪僧)을 파하였고, 1417년 『진언밀주경(眞言密呪經)』이나 『다라니집(陀羅尼集)』 등 밀교 관계 서적을 불살라 버리게 하고 주59나 시식수법(施食修法)에 관한 것들만 남겨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탄압을 가하던 태종은 태조가 죽자 진언법석 · 화엄법석 등을 주60과 각 사찰에서 개설하게 하였으며, 주61 및 소상재(小祥齋)와 대상재(大祥齋)를 개설하게 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부왕의 대사를 당하여 마음에 시비를 계교할 겨를이 없다.”라는 정책적 명분론을 내세웠다. 따라서 태종이 밀교의 각종 서적을 불살랐던 것은 유교적 풍토에 따른 정책적인 조처에 불과하였으며, 그 내면의 신앙에는 밀교가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고 하겠다.

태조는 1393년 2월 숙위 사졸(宿衛士卒)들에게 명하여 궁궐의 뜰에서 『신중경(神衆經)』 소재주(消災呪)를 염송하게 하였으며, 그 재위 연간 동안 밀교의 소재도량을 14회나 개설하였으며, 1395년 4월 총지사와 현성사에서 불사를 크게 일으키기도 하였다.

1400년(정종 2) 3월 정종은 현성사에서 문두루도량을 개설하였고, 세종은 1450년 1월 주62를 개설하게 하고 『불정심다라니경』을 개판하여 널리 보급시켰다. 또 1451년(문종 1) 5월과 1457년(세조 3) 7월 공작재를 개설하였는데, 그것은 밀교 계통의 『공작명왕경』의 신앙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밖에도 조선시대 일대를 통하여 많은 밀교 관계 전적들이 개판되어 널리 신앙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개간된 밀교의 전적으로는 제일 먼저 『진언집』을 들 수 있다.

『오대진언(五大眞言)』은 사십이수진언(四十二手眞言) · 신묘장구대다라니 · 수구즉득다라니 ·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 불정존승다라니 등을 한데 모은 것인데, 이것은 1458년(세조 4)과 1531년(중종 26), 1535년, 1634년(인조 12)에, 또 『천수경(千手經)』은 1476년(성종 7)과 1496년(연산군 2) 등 모두 8차에 걸쳐서 개판되었다.

『제진언집(諸眞言集)』은 1569년(선조 2) 전라북도 안심사(安心寺)에서 개간된 것을 비롯하여, 1658년(효종 9) 강원도 신흥사(神興寺)에서, 1688년(숙종 14) 묘향산 불영대에서 개판되었으며, 1777년(정조 1)과 1800년에도 각각 개간되었다.

이밖에도 1560년(명종 15) 장우사(藏于寺)에서 개판된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 1권, 1784년 불영산 수도암(修道庵)에서 개판된 『비밀교(祕密敎)』 등 많은 밀교 관계 전적들이 조선시대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개판되어 널리 사용되고 지송(持誦)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종류의 진언집이나 밀교 관계 전적들이 종단 폐합의 이전보다 그 이후에 더욱 많이 개판되고 있다. 그것은 결국 조선시대에 있어서 밀교는 종단 폐합이나 숭유 배불이라는 정책과는 관계없이 왕실에서부터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열렬한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성

우리나라의 밀교는 그 발전된 내용 면에서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교리적인 측면에서의 발전보다는 실천 면이 강조된 점이나, 실천에 있어서도 밀교 본래의 출세간적인 즉신성불의 목적보다는 병을 고치고 전쟁을 막는 등의 세간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신앙되었던 점이 그것이다. 또 그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채용된 수행법이 신인비법이나 삼밀 수행(三密修行)에서도 특히 진언지송(眞言持誦)만을 존중하여 신인종과 총지종이라는 종파를 형성하게 된 것도 그 특성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밀교의 더욱 두드러진 점은 밀교가 타종의 교학과 서로 밀접한 융합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한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밀교와 정토신앙

밀교와 미타정토(彌陀淨土)는 인도에서 대승불교 운동의 양대 소산으로서, 그 성립 당시부터 서로 무리 없이 교섭될 수 있는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인 조건 속에서 출발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법화 신앙과 미타신앙을 주축으로 하여 백련사(白蓮社)를 결사하고 천태종풍(天台宗風)을 크게 떨쳤던 요세(了世)는 매일의 일과로서 준제주송(准提呪誦) 1,000편과 미타염불 1만 번을 하여 수행을 하였다.

이러한 요세의 수행을 통하여 천태사상과 밀교와 정토 신앙이 서로 무리 없이 접근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밀교의 진언과 정토염불이 외형적으로는 무리 없는 접근으로 파악되지만, 그것이 개인적 깨달음의 내용에서는 접근이 아닌 원융성(圓融性)으로 승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요세가 진언 염송과 미타염불을 통하여 수행 일과를 하였다는 것은 밀교와 정토의 조화로운 융섭적 신앙(融攝的信仰)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고려 밀교의 조류는 요세의 경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고, 요세와 거의 같은 시대에 팔공산 거조사(居祖社)에 있었던 원참(元旵)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원참은 1298년 『현행서방경(現行西方經)』을 집록하여 미타정토의 왕생(往生)을 아미타본심미묘진언(阿彌陀本心微妙眞言)의 염송만으로 충분히 가능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그리하여 고려나 조선에서는 밀교가 진언을 매체로 하여 정토 신앙과의 상호 교섭 관계를 밀접하게 맺게 되었다. 『현행서방경』은 1448년 김천 직지사(直指寺)에서 개간된 것을 비롯하여, 1531년 하동 쌍계사(雙磎寺), 1556년 황해도 신광사(神光寺), 1710년 하동 칠불암(七佛庵)에서 각각 개판되었다.

그리고 선사였던 석실(石室)은 실제로 이러한 신앙을 널리 펴는 데 힘을 기울였던 고승이다. 그리고 1668년(현종 9) 보현사(普賢寺)에서 개판된 『진언집』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개판되어 널리 사용되었던 『염불작법(念佛作法)』 · 『일용작관법(日用作觀法)』 · 『비밀교』 등에는 무량수불설왕생정토주(無量壽佛說往生淨土呪)를 비롯하여 결정왕생정토진언(決定往生淨土眞言) · 아미타불심주(阿彌陀佛心呪) · 무량수여래근본다라니(無量壽如來根本陀羅尼) · 무량수여래심주(無量壽如來心呪) 등 많은 정토 관계의 진언이 있어 실제 의식상에 응용되고 있었다.

1644년 동래 범어사(梵魚寺)에서 개판된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간기에서 ‘이 다라니 법문은 수양의 미묘한 문이요, 정토 왕생의 첩경’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의 밀교는 고려 말기부터 정토 신앙과 깊은 관계를 맺게 되었고, 그것은 점점 시대가 흐름에 따라 개인의 신앙에서는 물론이요, 교학과 사상 면에서도 서로가 깊은 융합적인 관계로까지 발전하였다.

그리하여 정토 신앙이 밀교화된 『현행서방경』 등이 저술되어 조선시대에 널리 신앙됐으며, 많은 밀교 의식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불교 의식에서도 밀교화된 정토 관계 진언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밀교계의 현상은 한국의 밀교와 정토가 신앙 · 교학 · 사상 · 역사의 측면에서 원융한 주18을 이루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밀교와 선

밀교와 또한 정토와 마찬가지로 신라 말기부터 깊은 교섭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신라 말 도선은 주63 중의 동리산(桐裏山) 제2세로서 밀교의 여러 가지 작법 의식(作法儀式)을 선의 수행법에 응용하여 불교의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전통 속에서 고려의 요세는 매일의 일과에서 선을 하고 남은 시간에 진언지송과 미타염불을 하였거니와, 고려 말에는 선 수행의 방편인 1,700 주65이 모두 주66에서 나온 것으로 보았다.

선과 밀교의 융섭은 조선시대에 와서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능엄경(楞嚴經)』『금강경』과 더불어 선종의 소의(所依)가 되는 경으로서, 이 경전에는 능엄주가 수록되어 있다.

1668년 묘향산 보현사에서 계정(戒淨)은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모든 진언들을 모아 『진언집』을 간행하였는데, 여기에 정본 능엄주(正本楞嚴呪)가 들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 능엄주는 선승들도 아침 저녁 의식 때 염송하였으며, 밀교에서도 이 능엄주를 많이 지송하였다.

이처럼 선과 밀교가 서로 융섭된 관계로 발전하자, 휴정(休靜)은 선가의 의식집인 『운수단(雲水壇)』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선을 교설할 때의 의식집인 『설선의(說禪儀)』를 저술하여 밀교의 각종 의식법과 함께 필요한 진언까지도 적절히 도입하여 선을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선과 밀교는 신라 말기부터 서로 깊은 관계를 맺기 시작하였으며, 고려와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러한 관계가 교학이나 의식은 물론, 신앙 속으로까지 융섭되어 어느 일면에서는 서로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동문선』

단행본

권상로, 『조선불교약사』(신문관, 1917)
이능화, 『조선불교통사』(신문관, 1918)
이재병, 『조선불교사지연구』(동계문화연양사, 1946)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권상로, 『이조실록불교초존』(보련각, 1979)
정태혁, 『밀교』(동국대학교역경원, 1980)

논문

문명대, 「신라 신인종의 연구」(『진단학보』 41, 진단학회, 1976)
박태화, 「신라시대의 밀교전래고」(『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 1965)
서윤길, 「도선비보사상의 연원」(『불교학보』 13,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76)
서윤길, 「고려의 밀교와 정토신앙」(『동국사상』 14, 1981)
서윤길, 「고려밀교신앙의 전개와 그 특성」(『불교학보』 19,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2)
정태혁, 「한국불교의 밀교적성격에 대한 고찰」(『불교학보』 1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1)
주석
주1

인도 대승 불교의 2대 학파의 하나. 파조(派祖)인 용수(龍樹)의 중관론을 근본으로 하여 공(空)을 교의(敎義)의 중심으로 한다. 중국 등지에 전하여져 삼론종의 바탕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2

인도에서 성하였던 대승 불교의 한 파. 법상종이 이를 계승하였다. 우리말샘

주3

부처의 사리를 모셔 둔 탑. 우리말샘

주4

재앙을 없앰.

주5

칠관음의 하나. 아수라도의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로, 머리 위에 다양한 표정을 한 열한 개의 조그만 얼굴이 있다. 맨 위의 얼굴은 불과(佛果)를 나타내고, 전후 좌우에 있는 열 개의 얼굴은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십지(十地)를 나타내어, 중생의 무명(無明) 번뇌를 끊고 불과를 얻음을 상징한다. 육관음의 하나이기도 하다. 우리말샘

주6

교법(敎法)으로 나라를 지키는 일. 인왕반야경이나 금광명경 따위의 경전을 지니고 독송(讀誦)하면 나라를 지킬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남북조 시대부터 이를 위한 법회가 성행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이래 고려에 이르기까지 진호국가 삼부경을 독송하는 법회를 통한 많은 수법(修法)이 행하여졌다. 우리말샘

주7

정례화된 의식.

주8

불교 업무를 관장하던 승록사(僧錄司)의 2개 부서.

주9

한 종파의 근본을 이룸.

주10

석가모니가 때와 장소에 따라 알기 쉽게 설명한 설법을 따르는 종파. 천태종, 화엄종, 정토종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11

7세기 후반 인도에서 성립한 대승 불교의 한 파. 대일경과 금강정경에 의하여 일어났다. 우리말샘

주12

연화장세계에 살며 그 몸은 법계(法界)에 두루 차서 큰 광명을 내비치어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 천태종에서는 법신불, 화엄종에서는 보신불, 밀교에서는 대일여래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13

복을 거두는 밭이라는 뜻으로, 삼보(三寶)ㆍ부모ㆍ가난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보를 공양하고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며 가난한 사람에게 베풀면 복이 생긴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4

진언종에서 이르는, 양부 만다라의 법신불. 금강계에서는 가운데의 대일(大日)ㆍ동쪽의 아축ㆍ남쪽의 보생ㆍ서쪽의 아미타ㆍ북쪽의 불공 성취(不空成就)를 이르고, 태장계에서는 가운데의 대일(大日)ㆍ동쪽의 보당(寶幢)ㆍ남쪽의 개부화왕(蓋敷華王)ㆍ서쪽의 아미타ㆍ북쪽의 천고뇌음(天鼓雷音)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고려 고종 23년(1236)부터 38년(1251)에 걸쳐 완성한 대장경.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경판(經板)의 수가 8만 1258판에 이르며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16

단(壇)에서 이루어지는 불교 의식을 주도하고 집전하는 승려. 우리말샘

주17

불교 경전을 진언(眞言)을 지니고 독송하는 것.

주18

철학이나 종교 따위에서, 서로 다른 학설이나 교리를 절충함. 우리말샘

주19

진언을 적어 놓은 문서. 우리말샘

주20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닦아 덕과(德果)를 장엄하게 함. 우리말샘

주21

석가모니 입적 뒤 백 년부터 수백 년 사이에 원시 불교가 분열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대의 불교. 독자적인 교의(敎義)를 전개하여 뒤에 유식 사상(唯識思想)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은 소승 불교와 같다. 우리말샘

주22

인도 대승 불교의 2대 학파의 하나. 파조(派祖)인 용수(龍樹)의 중관론을 근본으로 하여 공(空)을 교의(敎義)의 중심으로 한다. 중국 등지에 전하여져 삼론종의 바탕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23

불교에 앞서 고대 인도에서 경전인 베다의 신앙을 중심으로 발달한 종교. 우주의 본체 곧 범천(梵天)을 중심으로 하여 희생을 중요시하며 난행고행과 조행(操行) 결백을 으뜸으로 삼는다. 우리말샘

주24

인도의 토착 신앙과 브라만교가 융합한 종교 체계. 구원에 이르는 세 가지 길로 공덕, 지혜, 봉헌을 들고 있으며 사회 제도와의 연계가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25

7세기 중엽에 인도의 슈바카라심하가 당나라에서 번역한 ≪진언삼부경≫의 하나. 제1권부터 제6권까지는 진언밀교의 교리와 실천 방법에 대하여 쓰고, 제7권에는 공양법을 설명하였다. 이 경전에 설명한 법을 태장법(胎藏法)이라고 한다. 7권. 우리말샘

주26

밀교에서 의지하는 삼부 비밀경의 하나. 부처, 보살의 경지로 들어가기 위한 법을 설한 것이다. 우리말샘

주27

밀교의 이대 법문(二大法門)의 하나. 대일여래를 지덕(智德)의 방면에서 설명한 부문으로, 그 지덕이 견고하여 모든 번뇌를 깨뜨릴 수 있다 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28

현재의 몸 그대로 바로 부처가 됨. 우리말샘

주29

인계(印契)를 맺음. 진언종의 수행자가 열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서 부처나 보살의 법덕(法德)의 표시인 인(印)을 맺는다. 우리말샘

주30

밀교에서, 중생의 행(行)이 본질적으로는 부처의 신비하고 미묘한 작용과 같다고 하는 이념에 바탕을 두고 행하는 몸ㆍ입ㆍ뜻의 삼업(三業). 신밀(身密), 구밀(口密), 의밀(意密)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1

‘슈바카라심하’의 한자식 이름. 우리말샘

주32

약사유리광여래의 본원(本願)과 공덕을 설명한 경전. 우리말샘

주33

가계(家系)나 유파(流派)의 초대 선조. 우리말샘

주34

첫째가는 자리나 우두머리가 되는 자리. 우리말샘

주35

연화장세계에 살며 그 몸은 법계(法界)에 두루 차서 큰 광명을 내비치어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 천태종에서는 법신불, 화엄종에서는 보신불, 밀교에서는 대일여래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36

관세음보살의 상(像). 우리말샘

주37

복을 거두는 밭이라는 뜻으로, 삼보(三寶)ㆍ부모ㆍ가난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보를 공양하고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며 가난한 사람에게 베풀면 복이 생긴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38

천수관음의 공덕을 찬탄하고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나타내는 다라니. 모두 82구(句)로 되어 있다. 이 다라니를 외면 시방(十方)의 부처나 보살이 와서 증명하여 온갖 죄업이 없어진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39

정법(正法)을 지키고 중생을 옹호하는 여덟 보살. 경(經)에 따라 다르다. 약사경에서는 문수사리보살, 관세음보살, 득대세지보살, 무진의보살, 보단화보살, 약왕보살, 약상보살, 미륵보살을 이르며, 팔대 보살 만다라경에서는 관세음보살, 미륵보살, 허공장보살, 보현보살, 금강수보살, 문수보살, 제개장보살, 지장보살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0

지혜의 정체(正諦)를 금강의 견실함에 비유하여 해설한 불경으로 우리나라 조계종의 기본 경전. 우리말샘

주41

‘아미타불’을 달리 이르는 말. 수명이 한없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42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43

석가모니의 열반을 설명하기 위해서 편찬한 불교 경전. 소승과 대승의 두 경전이 있는데, 소승은 석가모니 입멸 전후의 역사적 사실을 주로 기록하였으며 대승은 석가모니가 입멸 직전에 설한 교의를 담았다. 우리말샘

주44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가지 신명(神明)한 몸을 나타내는 일. 본디 본문(本門)과 적문(迹門)의 사상에서 나온 것으로, 중국에서 노자를 가섭 보살의 수적 화현(垂迹化現)이라 하는 것도 이와 관련된다. 우리말샘

주45

부처의 사리를 모셔 둔 탑. 우리말샘

주46

부처의 사리를 담는 병. 보통 수정이나 납석으로 만드는데, 그 모양은 일정하지 아니하다. 우리말샘

주47

음양과 오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8

앞날의 길흉을 예언하는 술법. 또는 그런 내용을 적은 책. ≪정감록≫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9

고려 시대에 두 차례 간행한 대장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처음에 만든 것은 몽고군의 침입 때에 없어졌고, 두 번째의 해인사 대장경판이 지금 남아 있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말샘

주50

고려 현종 때에 간행된 고려 대장경의 초간본. 대반야바라밀다경은 대장경 가운데 제일 먼저 수록되어 있는 경전으로, 글자의 생김이나 먹의 색, 지질, 보존 상태 등이 좋아 표지 등에서 원형을 잘 살필 수 있다. 이 가운데 권 249는 우리나라 국보로, 국보 정식 명칭은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석가의 크고 넓은 깨달음과 장엄하고 방정한 이치가 담긴 대승 경전으로, 권 1, 권 2, 권 13, 권 29, 권 36, 권 74, 권 75는 우리나라 국보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이다. 우리말샘

주51

은가루나 은박, 은빛 수실을 이용하여 쓴 글자. 우리말샘

주52

음식물을 마련하여 승려에게 공양함. 우리말샘

주53

꽃병이나 물병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4

한 종파를 처음으로 연 사람. 우리말샘

주55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에 있는 산. 강화도의 중앙부에 자리하고 있어, 정상에서 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높이는 466미터. 우리말샘

주56

사자좌 백 개를 만들어 고승 백 명을 모시고 설법하는 큰 법회. 신라 진흥왕 12년에 고구려에서 온 고승 혜량(惠亮) 법사가 처음으로 신라에 설치하였다는 것이 ≪삼국유사≫에 전한다. 우리말샘

주57

‘쿠마라지바’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58

부처가 앉는 자리. 부처는 인간 세계에서 존귀한 자리에 있으므로 모든 짐승의 왕인 사자에 비유하였다. 우리말샘

주59

날이 가물 때에 비가 오기를 빎. 우리말샘

주60

국상(國喪) 때,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전각. 우리말샘

주61

사람이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재. 삼계(三界)와 육도(六道)에 가서 누리는 후생의 안락을 위하여 명복을 빈다. 우리말샘

주62

불교의 밀교에서 공작명왕을 본존으로 삼아 기원하는 재(齋). 재앙을 없애고 병마를 덜어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목적의 재이다. 우리말샘

주63

통일 신라 이후 불교가 크게 흥할 때, 승려들이 중국에서 달마의 선법(禪法)을 받아 가지고 와 그 문풍(門風)을 지켜 온 아홉 산문. 실상산문, 가지산문, 사굴산문, 동리산문, 성주산문, 사자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수미산문이다. 우리말샘

주64

공무(公務)에 관한 문안(文案). 우리말샘

주65

공무(公務)에 관한 문안(文案). 우리말샘

주66

범어의 실담(悉曇) 12운(韻) 가운데 하나. 밀교에서, ‘아(阿)’ 자는 온갖 언어와 문자의 바탕으로, ‘처음’ㆍ‘근본’ㆍ‘불생(不生)’ 따위의 뜻을 지닌다. 우리말샘

집필자
옥나영(숙명여자대학교 강사, 한국고대사(불교사상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